위상 RE DEL
(2009/03/30 16:19)
.....아무 생각없이 수돗물을 틀어놓고 사는 저의 모습이 생각나는군요. 반성.
도아 DEL
(2009/03/31 07:03)
아껴써야 합니다. 아무래도 물은..

구차니 RE DEL
(2009/03/30 16:20)
가장큰 가르침은 먼저 행동해서 보여 주는것이죠.
좋은 아버지에 좋은 자식들이 나나봅니다 ㅎㅎ

(아윽 결혼한 사람의 염장 ㅠ.ㅠ)
도아 DEL
(2009/03/31 07:03)
윽,,, 염장이 되는군요. 빨리 결혼하시는 것이...

돌이아빠 RE DEL
(2009/03/30 16:46)
반성하겠습니다. 다예보다 못하군요... 물 부족 국가인데 생활속의 작은 실천 다시 한번 다잡아야겠습니다.
도아 DEL
(2009/03/31 07:04)
예. 여기 저기 파헤처서 사라지는 물의 양도 많고 또 비가 충분하지 않아서 조만간 물 부족 국가로 간다고 하더군요.

최면 RE DEL
(2009/03/30 17:16)
실상은 UN은 물부족 국가를 지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정답이지만..
그래도 절약, 절수를 하는 도아님의 딸을 보니까...

자식 자랑은 팔불출이라는게 생각나네요...

에휴.. 저도 빨리 장가를 ㅠ.ㅜ
도아 DEL
(2009/03/31 07:04)
UN이 정한 것이 아니라 강우량등의 통계 자료입니다. 다만 팔불출이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더군요.

INNYS RE DEL
(2009/03/30 17:36)
아마도 가까운 미래의 물전쟁(?)이 일어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저는 둘째가 1개월이라 아직 2살짜리 첫째 아들이 더 예쁩니다.^^
도아 DEL
(2009/03/31 07:05)
저도 비슷했습니다. 그런데 둘째들은 애교가 좋아서 대부분 이쁨을 받더군요.

블로그인 RE DEL
(2009/03/30 18:01)
어른들은 아이들에게서 무심코 하는 행동에 배울게 많이 있는거 같아요. 예쁜 따님처럼 습관화 해서 몸에 베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집에 가서 조금이라도 실천할 수 있는 것을 찾아봐야 겠습니다.
도아 DEL
(2009/03/31 07:05)
감사합니다. 저도 의외였습니다. 물을 틀어놓고 쓰는 것이 아니라 꼭 잠그는 것이...

럭스구구 RE DEL
(2009/03/30 18:22)
이렇게 좋은 습관이 어른들의 삐뚤어진 행동으로 인해 바뀔 것 같아서

제 자신부터 바른행동을 해야 겠군요.
도아 DEL
(2009/03/31 07:06)
예. 저도 주의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잘 안되는 부분이 많더군요.

철산초속 RE DEL
(2009/03/30 18:46)
아니 이런 개념있는 아이라니!! 감동입니다...;;
전 예전에 은행에서 청원경찰 아르바이트할때 정말 개념없는 꼬마들과 그런 개념없는아이들을 아무렇지 않게 방치하는 부모들을 보면서 절대 그러지 말아야지 라고 다짐했는데....도아님 따님 너무 귀엽고 부럽네요...;;
도아 DEL
(2009/03/31 07:06)
요즘은 아이들을 통제하지 않고 기르는 집이 많더군요. 저는 반대지만.
최면 DEL
(2009/03/31 09:08)
난 청원경찰은 배 나온 아저씨만 하는 줄 알았는데 ㅎㅎ

철산초속님.. 같이 다이어트나 합시다 ㅠ.ㅜ

몸이 예전 같지 않아요 ㅠ.ㅜ

날자고도 RE DEL
(2009/03/30 19:21)
물부족국가라는 글만보면, 운하에 시멘트 바르는 분이 생각나는군요.
폐기일을 당길좋은 방법이 있으면 공유요~
도아 DEL
(2009/03/31 07:07)
방법이 있으면 저도 알고 싶습니다. 나라를 얼마나 말아 먹을지.

ACT RE DEL
(2009/03/30 19:43)
하루빨리 4대강 정비해서 물부족을 극복해야 할텐데요^^
도아 DEL
(2009/03/31 07:08)
예... 대운하로 똥물을 만들면 정수기 사업에 일자리가 만들어지니 일석이조죠.

kofchi RE DEL
(2009/03/30 20:56)
이 글을 보니까 저도 절약 인식에 대해서 한참 멀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태백 가뭄 상태가 심각하다고 단지 보기만 했었는데, 이 글에서 교훈을 주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도아 DEL
(2009/03/31 07:08)
강우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만간 물 부족 국가로 갈것이라고 하더군요.

리키니쥬스 RE DEL
(2009/03/30 22:19)
결국, 다예 스스로 아빠, 우리나라는 물부족국가라고 말을 하지'는' 않았군요...ㅋ 이번 포스팅에서 젤 인상깊었습니다...^^
도아 DEL
(2009/03/31 07:08)
예. 대신에 몸으로 말하더군요. 감사합니다.

의리 RE DEL
(2009/03/31 04:27)
자식농사는 성공적이신 모양입니다. 장래가 기대되는걸요.
도아 DEL
(2009/03/31 07:09)
감사합니다. 성공은 아닙니다. 다른 아이들과 비슷한 점도 많으니까요.

필넷 RE DEL
(2009/03/31 09:50)
다예에게 한수 배우고 가야겠네요.
진짜 물을 물쓰듯 쓰면서 살고 있는데 말이죠. ^^;;
도아 DEL
(2009/03/31 11:22)
예. 자원은 아껴써야 합니다.

공상플러스 RE DEL
(2009/03/31 15:47)
물 부족 국가.. 오늘 일제고사를 치고 왔는데 솔직히 문제 난이도 치고는 종이가 좀 아깝지 뭡니까..
우리 나라는 거의 모든게 부족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뭐 깨끗한 물, 깨끗한 종이, 깨끗한 정치인..등등
도아 DEL
(2009/03/31 16:59)
예... 듣고 보니 정말 그렇군요. 특히 깨끗한 정치인은 정말 아쉽죠.

율동공원 RE DEL
(2009/03/31 16:20)
물이 점점더 귀해지는 세상이 될것 같습니다.
수도꼭지만 틀면 콸콸 나오는
맑은물의 고마움이 세삼느껴지네요.
도아 DEL
(2009/03/31 16:59)
예. 제가 어렸을 때에 물을 사먹는 코미디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정말 물을 사먹어야 하는 세상이 오더군요.

오리ⓡ RE DEL
(2009/03/31 23:41)
참 기특하네요~ ^^

오늘도 이쁜 다예양 잘 보고갑니다~
도아 DEL
(2009/04/01 07:49)
감사합니다. 그런데 다예가 인기가 좋군요.

윤귀 RE DEL
(2009/04/01 01:04)
다예가 단발이 되었네요? ㅎ
다예가 크면 어떤 인물이 될지 참 기대가 됩니다
도아 DEL
(2009/04/01 07:50)
윽,,, 예리하시군요... 얼마전 잘랐는데 단발도 귀엽더군요.

사랑가루 RE DEL
(2009/05/31 18:56)
다예가 정말 사랑스럽네요. 뭐라고 표현을 못하겠어요.
참 야무지고 똑똑한 아이네요.

저도 물을 아껴쓰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다른 사람한테 얘기를 하면 꼭 잔소리처럼 느끼나 봐요. 울 남편이까지도. ㅡㅜ

근데 우리나라는 UN에서 지정한 물부족국가<- 이건 아니라고 합니다.
건교부가 댐을 건설하기 위해서 만들었던 말인데 지금은 안 쓴다고 하네요.
언론효과 덕은 톡톡히 봤지만...(그 핑계로 대운하, 경인운하를 ㅡ"ㅡ)
확실한 건 우리나라 1인당 물낭비가 심하다는 거죠.
프랑스의 세배?
물, 아껴씁시다. ^^
도아 DEL
(2009/05/31 20:53)
[quote]다예가 정말 사랑스럽네요. 뭐라고 표현을 못하겠어요. 참 야무지고 똑똑한 아이네요. 저도 물을 아껴쓰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다른 사람한테 얘기를 하면 꼭 잔소리처럼 느끼나 봐요. 울 남편이까지도.[/quote]
감사합니다.

[quote]ㅡㅜ 근데 우리나라는 UN에서 지정한 물부족국가<- 이건 아니라고 합니다.[/quote]
저는 이런 말을 한적이 없습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물부족 국가가 맞습니다. 그 이유는 강우량에 있습니다. 강우량만 따지면 물 부족국가가 아니지만 비의 대부분이 장마에 집중되기 때문에 실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강우량은 크지 않습니다. 또 현재의 상태가 유지되면 장기적으로 물 부족 국가가 아니라 물 기근 국가로 갈 수 있습니다.

[quote]건교부가 댐을 건설하기 위해서 만들었던 말인데 지금은 안 쓴다고 하네요.[/quote]
근거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군요. 기본적으로 댐과 물 부족은 연관관계가 별로 없습니다. 물의 저수량은 댐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댐보다 저수량이 훨씬 큰 나무, 사천을 비롯한 전체양으로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quote]언론효과 덕은 톡톡히 봤지만...(그 핑계로 대운하, 경인운하를 ㅡ"ㅡ) 확실한 건 우리나라 1인당 물낭비가 심하다는 거죠. 프랑스의 세배? 물, 아껴씁시다. ^^[/quote]
예. 무엇이든 아껴쓰는 것이 좋습니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