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대로 파워블로거라는 것은 없다고 봅니다.
인기블로거, 유명블로거는 있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도아님만 하더라도 여러 블로거들에서 혹은 여러 서비스에서 이름이 오르내리니까요.
즉, 잘 알려진 블로거는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이 어떤 힘을 상징한다고는 볼 수 없겠죠.
최근에 블로그마케팅들이 많아지고 좀 과열된 현상을 보이면서 이런 문제가 붉어지는거 같은데 좀 아쉽다는 생각은 듭니다.
TNM 얘기를 많이 하는데 거기에 속해있는 블로거들이 몽땅 쓰레기라고 치부당하는 것도 좀 어이없기도 하고요.
(물론 일부분은 동감하는 부분이 있지만 말이죠.)
인기블로거, 유명블로거는 있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도아님만 하더라도 여러 블로거들에서 혹은 여러 서비스에서 이름이 오르내리니까요.
즉, 잘 알려진 블로거는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이 어떤 힘을 상징한다고는 볼 수 없겠죠.
최근에 블로그마케팅들이 많아지고 좀 과열된 현상을 보이면서 이런 문제가 붉어지는거 같은데 좀 아쉽다는 생각은 듭니다.
TNM 얘기를 많이 하는데 거기에 속해있는 블로거들이 몽땅 쓰레기라고 치부당하는 것도 좀 어이없기도 하고요.
(물론 일부분은 동감하는 부분이 있지만 말이죠.)
도아 DEL
(2008/11/13 13:29)예. 저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저는 블로그마다 똑 같은 스킨을 사용하는 것을 빼면 큰 거부감은 없습니다. 그리고 모아서 광고한다고 해도 그 것을 나쁘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죠. 또 몽땅 쓰레기 취급을 하는 사람도 별로 없습니다. 기분 푸시고 그러려니 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 같습니다.
블로그 초기에 좀 하다가 일이년 전에 다시 블로그를 잡았는데....그전부터 QAOS로 유명하셨던 도아님도 이젠 블로그를 하시는구나 하고 일전에 피딩 추가했었습니다.....^^
간간히 들러서 글 보고 가는데 도아님 글은 이미지 사용이 절제되어 있어서 RSS 전체 공개를 하셔도 크게 무리가 없네요.. 가끔가다 어떤 분들은 제발 부분 공개 좀 해주세요....노래를 부르고 싶을 정도로 이미지나 오브젝트 도배를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ㅜㅜ
아... 갑자기 뜬금없는 소리가 문제가 아니라... 도아님의 여타 글처럼 이 글도 핵심을 잘 정리해주시는군요..
깊이 공감하고 갑니다..
간간히 들러서 글 보고 가는데 도아님 글은 이미지 사용이 절제되어 있어서 RSS 전체 공개를 하셔도 크게 무리가 없네요.. 가끔가다 어떤 분들은 제발 부분 공개 좀 해주세요....노래를 부르고 싶을 정도로 이미지나 오브젝트 도배를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ㅜㅜ
아... 갑자기 뜬금없는 소리가 문제가 아니라... 도아님의 여타 글처럼 이 글도 핵심을 잘 정리해주시는군요..
깊이 공감하고 갑니다..
도아 DEL
(2008/11/13 14:19)저도 그런 이유때문에 부분 공개를 더 좋아했습니다. 다만 전체 공개를 해보니 전체 공개를 좋아하시는 분이 많더군요. 방문 감사합니다.
nooe DEL
(2008/11/13 17:32)아.. 이런 문제로 부분공개 전체공개를 결정해야하는군요.
제 블로그는 어떻게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도아님. 추천해주셔서 감사하고요.
'신뢰'를 바탕으로한 '힘'이 모이는 기회가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LieBe DEL
(2008/11/13 17:39)자꾸 본글의 주제와는 엉뚱한 화제로 끌고가는거 같아서 죄송한데...^^;;;;;;;
리더기에서 일반적으로 화면에 글 하나만 표시하질 않잖아요.
만약 10페이지라면 10페이지의 모든 이미지나 오브젝트가 로딩 되는걸 바라보고 있으면 아주 속이 터집니다.
저같은 경우엔 한RSS를 이용하는데 열에 두서너분은 제발~~~ 소리가 절로 나올 정도라 가끔은 며칠씩 새로운 글이 떠도 클릭은 안하곤 해요....^^
도아 DEL
(2008/11/13 17:51)HanRSS에는 목록으로 보는 기능은 없나요? 구글 리더는 목록으로 보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가끔은 목록으로 봅니다. 그리고 그 심정은 저도 이해합니다. 기글에서는 이미지는 1024 이상의 크기도 종종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 글을 보려고 하면 아예 숨이 넘어갑니다.
그래서 더 이상 보지 않고 모두 읽음 단추를 누를 때도 있습니다.
도아 DEL
(2008/11/13 17:53)nooe//환경설정/기타설정/rss에서 전체, 부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 믿을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뭐든 그 수가 늘어나면 여러 잡음도 생기고 본디 순위 매기기를 좋아하는 사람인지라..그런 듯 싶네요.
그와중에 기업들은 이거다 싶으니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이고..ㅎ
대놓고 상업적인 활용이 되는 블로그를 보면 개인적으로 좀 씁쓸할 때가 많긴 하지만 그려러니 하고 지나갑니다.
안 보면 그만이려니 하구요..ㅎㅎ 뭐 때론?가끔은... 제게 도움이 될때도 있으니까요.
그와중에 기업들은 이거다 싶으니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이고..ㅎ
대놓고 상업적인 활용이 되는 블로그를 보면 개인적으로 좀 씁쓸할 때가 많긴 하지만 그려러니 하고 지나갑니다.
안 보면 그만이려니 하구요..ㅎㅎ 뭐 때론?가끔은... 제게 도움이 될때도 있으니까요.
도아 DEL
(2008/11/13 14:20)예. 그런데 그런 형식의 블로그 마케팅은 서로에게 독이 되는데 그것을 모르는 것 같더군요.
음.. 굳이 구분을 할 필요가 없는데요.. 올블로그 탑100 블로거에서도 그렇게 했자나요
"101번째 블로거는 당신"
"101번째 블로거는 당신"
도아 DEL
(2008/11/13 15:53)그래도 100등으로 구분을 했죠.
다소 공격적이면서도 그로 인해 힘이 넘치는 듯한 에너지가 글에서 느껴집니다. 멋지신데요^^
도아 DEL
(2008/11/13 15:53)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but BLOG Power 라는데 공감합니다.
도아 DEL
(2008/11/13 15:54)예. 블로그 파워는 말이 되는데,,, 파워 블로그는 무슨 말인지...
파워 블로그..라는 말을 쓰진 않지만, 미국에서도 A list 블로거나 알파 블로거라는 말을 쓰긴 하더라구요.
도아 DEL
(2008/11/13 17:46)alpha mail, alpha femail에서 왔기 때문에 의미상 큰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다만 파워는 너무 추상적이고 권력의 냄새가 많이 나는 것 같습니다.
파워블로그란게.. 개념은 있지만 실체는 없는.. 영향력은 보이지만 누구라고 콕 집어서 말할수 없는.. 뭔가 뜬구름 같은것으로 느껴져요.. ;;
도아 DEL
(2008/11/13 17:47)실체가 없는데 너무 종종 사용하더군요. 무슨 통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초면인 놈상들끼리 술을 마시게 되면 이런 야그 저런 야그를 하며 탐색전을 벌이다가
결국에는 군대는 어딜 갔다왔냐, 고향은 어디냐, 학교는 어딜 나왔냐 하며
저 인간 나이가 나 보다 위일까 아래일까 서로 저울질을 하게 되더라고요.
연상 연하가 확연하게 드러나면 그런 탐색전이 필요없지만
비슷한 또래이다 보면 서열을 구분지어 놓고 싶어하는 심리가 작동하나 봅니다.
한국 놈상들 대부분이 군대를 갔다와서 그런지도 모르겠고요.
이런 심리가 파워 블로그라는 것을 만드는데 거들고 있는 것도 같고요.
하지만 한국 블로거들은 워낙 똑똑할 뿐만아니라 긍정적으로 발전하고 있어서
파워 블로그와 블로그 파워를 분명히 알고 있을 것 같습니다.
결국에는 군대는 어딜 갔다왔냐, 고향은 어디냐, 학교는 어딜 나왔냐 하며
저 인간 나이가 나 보다 위일까 아래일까 서로 저울질을 하게 되더라고요.
연상 연하가 확연하게 드러나면 그런 탐색전이 필요없지만
비슷한 또래이다 보면 서열을 구분지어 놓고 싶어하는 심리가 작동하나 봅니다.
한국 놈상들 대부분이 군대를 갔다와서 그런지도 모르겠고요.
이런 심리가 파워 블로그라는 것을 만드는데 거들고 있는 것도 같고요.
하지만 한국 블로거들은 워낙 똑똑할 뿐만아니라 긍정적으로 발전하고 있어서
파워 블로그와 블로그 파워를 분명히 알고 있을 것 같습니다.
도아 DEL
(2008/11/13 17:47)저도 그렇게 되길 바랍니다. 우리사회의 서열 의식은 너무 심한 것 같더군요.
지나다가 씨끌벅적 잔치분위기라서 들려봤네요...(큰 잔치를 치뤘군요...좋은 하루 되세요)
도아 DEL
(2008/11/13 17:47)예. 감사합니다. 요즘 말이 많더군요.
저도 파워 블로거를 거론하는 순간 순수함을 잃어버린다고 생각합니다.
쩝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는지..ㅎㅎ
쩝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는지..ㅎㅎ
도아 DEL
(2008/11/13 17:48)무엇 때문에 나누려고 하는 것인지 그 이유를 모르겠더군요.
파워블로거라..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면 파워블로거라고 불려도 되지만
파워블로거는 실체가 없다는 말에 동감은 합니다. 인터넷에서의 영향력은 개인이 아닌 집단에서 나오는것이라고 생각하기때문에.. 어느 특정인이 영향력을 가진다라는건 힘든일이죠.
인기블로거는 있으나 파워블로거는 없습니다.
파워블로거는 실체가 없다는 말에 동감은 합니다. 인터넷에서의 영향력은 개인이 아닌 집단에서 나오는것이라고 생각하기때문에.. 어느 특정인이 영향력을 가진다라는건 힘든일이죠.
인기블로거는 있으나 파워블로거는 없습니다.
도아 DEL
(2008/11/14 01:17)그 영향력이라는 것도 조금 모호합니다. 블로거가 블로그를 통해 만든 영향력 보다는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인 지휘가 만든 영향력이더 많으니까요.
공감합니다..그런데 '페이지를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고 있는 영역은 애드센스인가요??? 무슨 문제라도 있는가보네요?
도아 DEL
(2008/11/14 01:18)애드센스가 아니라 애드클릭스입니다. 종종 저런 오류를 토해내더군요. 한달에 고작 만원을 주면서 저러더군요. 곧 제거할 생각입니다.
누가 진정... 파워블로거인지 아리송 아리송...
그러던차에 도아님의 파워블로거의 실체가 없다는 말에...
움... 어떤면에서 보면.. 힘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사실.. 그러니 파워블로거니 뭐니.. 이런 이야기를 올리며 옥신각신하는 것을 보면요...
파워블로거... 아마도 이 블로거스피어에서도 힘을 가지고 싶어하는 아니. 누군가는 힘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사람들의 것이 아닐까 합니다.
파워블로거에 관한 글... 참... 사색을 많이 해주게 해주시는 이 글.. 잘 읽고 갑니다.
그러던차에 도아님의 파워블로거의 실체가 없다는 말에...
움... 어떤면에서 보면.. 힘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사실.. 그러니 파워블로거니 뭐니.. 이런 이야기를 올리며 옥신각신하는 것을 보면요...
파워블로거... 아마도 이 블로거스피어에서도 힘을 가지고 싶어하는 아니. 누군가는 힘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사람들의 것이 아닐까 합니다.
파워블로거에 관한 글... 참... 사색을 많이 해주게 해주시는 이 글.. 잘 읽고 갑니다.
도아 DEL
(2008/11/14 01:19)듣고 보니 그렇군요. 권력을 추구하는 사람을 파워 블로거로 보면 되겠군요.
자기 과시욕도 어느 정도 섞여 있지 않을까요. 한 번 사람들이 많이 들어오니까, 그 인기를 계속 타보자고 하다보니 그런 것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도아 DEL
(2008/11/14 01:20)예. 자기 과시욕도 다수 포함되었다고 봅니다. 그리고 누군가가 이런 과시욕을 부추키고 있고요.
스킨 예술입니다. 깜짝 놀랐습니다. ㅎㅎ
내일 발행될 글에 이 글을 링크했는데 트랙백 전송하겠습니다.
편안히 주무시고요.
내일 발행될 글에 이 글을 링크했는데 트랙백 전송하겠습니다.
편안히 주무시고요.
도아 DEL
(2008/11/14 01:21)티스토리용도 있습니다. [url=http://minoci.net/]민노씨[/url] 블로그에서 보고 갈아탔습니다.
그리고 제트님도 편안한 밤 되시기 바랍니다.
글 읽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갑자기 제 컴이 어떻게 된 건줄 알고...^^
저는 아직 태터툴스 1.1.3에 머물고 있습니다. 불편함을 못느껴서 말이죠.
단 한가지, 카테고리를 누르면 글 목록이 10개 씩 나오게 했는데, 페이지 표시가
맨 밑에 나옵니다. 그걸 목록 바로 아래로 옮기려고 이것저것 손보고 있습니다.
아직 어디를 손봐야 할지 못찾았네요.
저는 아직 태터툴스 1.1.3에 머물고 있습니다. 불편함을 못느껴서 말이죠.
단 한가지, 카테고리를 누르면 글 목록이 10개 씩 나오게 했는데, 페이지 표시가
맨 밑에 나옵니다. 그걸 목록 바로 아래로 옮기려고 이것저것 손보고 있습니다.
아직 어디를 손봐야 할지 못찾았네요.
도아 DEL
(2008/11/14 01:21)아마 안되는 것 같은데요... ㅋㅋㅋ.
깜짝이야;;;; 제 노트북 이상한줄 알고. ㅡ_ㅡ;;
도아 DEL
(2008/11/14 01:22)노트북이 이상한 거 맞습니다. ㅋㅋㅋ
간만에 왔는데..스킨이..^_^ 너무 멋집니다. 그리고 블코 인터뷰도 잘 봤습니다.
최근 뜨거운 감자는 파워 블로거군요....
파워라는 단어의 뉘앙스가 정치,권력,무리 같은 이미지라 별로 않좋아하는 편입니다..ㅡ,.ㅡ
열심히 글 쓰고 소통하면 그냥 되는 거 아닌지...ㅎㅎㅎ
최근 뜨거운 감자는 파워 블로거군요....
파워라는 단어의 뉘앙스가 정치,권력,무리 같은 이미지라 별로 않좋아하는 편입니다..ㅡ,.ㅡ
열심히 글 쓰고 소통하면 그냥 되는 거 아닌지...ㅎㅎㅎ
도아 DEL
(2008/11/14 01:22)감사합니다. 생각해 보니 파워 블로거는 권력을 지향하는 블로거로 생각하면 되겠더군요.
잘보고 갑니다.
확 리뉴얼 되었네요...
넘 화사해요~
확 리뉴얼 되었네요...
넘 화사해요~
도아 DEL
(2008/11/14 01:23)감사합니다. 오늘 발견하고 너무 마음에 들어서 기존에 사용하던 무빙 박스를 버렸습니다.
디자인이 확 바뀌었군요. 멋지구리한데요 ^^;;;
도아 DEL
(2008/11/14 02:47)예. 시원 시원하고 디자인이 예뻐서 원래 2단은 잘 사용하지 않는데 바꿨습니다.
요즘 이 화이트보드 스킨이 대세인가 보네요. 도아님만의 멋스러움이 느껴지는데요.. ^^
이명박이 아니라면 소통하세요.. ㅎㅎ
이명박이 아니라면 소통하세요.. ㅎㅎ
도아 DEL
(2008/11/14 08:53)스킨을 보고 첫눈에 반해 갈아 탔습니다. 지금까지 써본 스킨 중 가장 마음에 든 스킨이 아닌가 싶더군요.
파워블로거 보다는 유명블로거 라고 해야하지 않을까요??
파워블로거....
솔찍히 기준의 모호함과 블로거간의 이간질을 부추기는 말임에는 틀림이 없는거 같습니다.
파워블로거....
솔찍히 기준의 모호함과 블로거간의 이간질을 부추기는 말임에는 틀림이 없는거 같습니다.
도아 DEL
(2008/11/14 08:54)유명이 파워 보다는 조금 더 실체감이 있지만 굳이 붙일 필요는 없는 부분이라고 봅니다. 굳이 구분하고 싶다면 올블 추천 블로거, 네버 추천 블로거 정도면 되니까요.
파워블로거...강한 느낌이 들어서 별루더라구요...
도아 DEL
(2008/11/14 08:55)저는 강하다는 느낌보다는 권위주의적이라는 느낌이 더 강합니다. 아울러 실체도 없는 말이 계속 사용되는 것도 그리 바람직해 보이지 않고요.
제 블로그를 보시고 스킨을 갈아타셨다니 정말 반갑습니다. :)
처음에는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ㅎ
파워블로그/블로그파워를 구별하신 취지에 대해선 크게 공감합니다.
전체로서의 블로그는 여전히 알콩달콩 서로의 의견을 나누면서 정감을 교류하고, 또 자기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그러니 현재 이토록 뜨거워진(?) 마케팅과는 큰 연계를 갖지 않는 것인데... 이런 블로그 본래의 가능성 영역보다는 상업적인 이윤창출 모델에 너무 과도하게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물론 이 논의도 매우 긴요한 논의이긴 하지만요... )
현실적으로 파워블로그 마케팅이라는 영역이 분명히 존재하는 이상 그 마케팅과 관련된 영역에서의 아주 작은 '힘'에 대해선 좀더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글 잘 읽었습니다.
처음에는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ㅎ
파워블로그/블로그파워를 구별하신 취지에 대해선 크게 공감합니다.
전체로서의 블로그는 여전히 알콩달콩 서로의 의견을 나누면서 정감을 교류하고, 또 자기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그러니 현재 이토록 뜨거워진(?) 마케팅과는 큰 연계를 갖지 않는 것인데... 이런 블로그 본래의 가능성 영역보다는 상업적인 이윤창출 모델에 너무 과도하게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물론 이 논의도 매우 긴요한 논의이긴 하지만요... )
현실적으로 파워블로그 마케팅이라는 영역이 분명히 존재하는 이상 그 마케팅과 관련된 영역에서의 아주 작은 '힘'에 대해선 좀더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글 잘 읽었습니다.
도아 DEL
(2008/11/14 08:59)민노씨의 스킨은 깔끔하기는 한데 색체가 너무 강하더군요. 그런데 민노씨 블로그를 통해 막상 원 스킨을 보니 바로 마음이 혹하더군요. 그래서 바로 갈아 탔습니다.
단순히 블로그 마케팅이라면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지만 프레스 블로그 마케팅이라면 아니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조금 더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지만 굳이 블로그를 나눠 서열화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알파 블로그처럼 파워 블로그와 비슷한 말이 있는데도 국내에서는 알파 블로그 보다는 파워 블로그가 더 많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면에는 이런 서열화 의식이 포함되어 있는 것 같거든요.
추.
아 그리고 지금 당장 현실적으로 객관적인 영향력 표준은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누구나 대체로 합리적으로 긍정할 수 있는 영향력 표준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이건 메타나 관련 업체에서 해야 하는 일이지만, 그 바탕은 상호 비평을 통한 블로그 문화가 지지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물론 저는 '등수놀이'에 대해 그다지 찬동하지는 않는 편입니다만, 등수놀이가 갖는 '안내적 효과'랄까, 용어 자체처럼 '놀이적 효과'랄까... 그런 것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올블, 블코, 야후... 이 등수놀이는 (특히 야후는 더더욱) 좀 신뢰하기가 어렵죠.. ㅎ
아 그리고 지금 당장 현실적으로 객관적인 영향력 표준은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누구나 대체로 합리적으로 긍정할 수 있는 영향력 표준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이건 메타나 관련 업체에서 해야 하는 일이지만, 그 바탕은 상호 비평을 통한 블로그 문화가 지지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물론 저는 '등수놀이'에 대해 그다지 찬동하지는 않는 편입니다만, 등수놀이가 갖는 '안내적 효과'랄까, 용어 자체처럼 '놀이적 효과'랄까... 그런 것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올블, 블코, 야후... 이 등수놀이는 (특히 야후는 더더욱) 좀 신뢰하기가 어렵죠.. ㅎ
도아 DEL
(2008/11/14 09:05)저 역시 순위를 매기는 것에는 반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준에 대한 부분은 분명히 논의해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피드 구독자 수가 가장 합리적인 지표인 것 같습니다. 물론 피드의 수에 허수는 존재하지만요.
마침 저도 고민중인 일이 있는데, 약간은 관련된 글을 보게 되는군요.
그나저나 저는 웃음을 참고 있습니다. 제가 도아님께 갖고 있던 착각이 떠올라서요.
..... 크하하핫, 죄송.^^;; 자기실수를 이렇게 재미있어 해도 되는 건지 모르겠지만....
그나저나 저는 웃음을 참고 있습니다. 제가 도아님께 갖고 있던 착각이 떠올라서요.
..... 크하하핫, 죄송.^^;; 자기실수를 이렇게 재미있어 해도 되는 건지 모르겠지만....
도아 DEL
(2008/11/14 12:08)별명 때문에 착각 하는 분이 꽤 있습니다. [b]도아[/b]라는 별명이 작고 귀여운 상상을 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원래의 뜻은 Don Quixote on Asphalt를 줄인 것입니다. 원래의 뜻을 이야기하면 제 모습과 많이 닮아 있는지 수긍을 하시더군요.
노트북에 파폭 RSS로 저정해서 보다가 직접 와서 보니 스킨도 바뀌고 조금은 적응이 안되네요 ㅎ 어제는 몸살에 걸려서 죽어 있닥 오늘에서야 부활을 했답니다. ㅠㅠ
조금 더울지 몰라도 코트로 바꾸어서 입어야 겠네요.
우리 나라에서 '스타크래프트'가 성공한 이유중에 하나가 랭킹 시스템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단순히 누구보다 더 강하게, 더 높게라는 것에 집착을 하고 그런 교육 시스템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점이 상생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점점 본성을 되찾아 가는거 같아서 씁쓸하네요..
조금 더울지 몰라도 코트로 바꾸어서 입어야 겠네요.
우리 나라에서 '스타크래프트'가 성공한 이유중에 하나가 랭킹 시스템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단순히 누구보다 더 강하게, 더 높게라는 것에 집착을 하고 그런 교육 시스템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점이 상생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점점 본성을 되찾아 가는거 같아서 씁쓸하네요..
도아 DEL
(2008/11/14 12:09)저는 무척 적응이 잘 되더군요. 아래쪽의 글을 옆에서 확인해야 하는 문제는 있지만요.
댓글 감사합니다...답글 놓으려 내려오기 아주 힘드네요...(지금 땅 속으로 들어온 건 아닌가요?)...좋은 하루 되세요...
도아 DEL
(2008/11/14 12:10)글의 성격 때문인지 댓글이 조금 많이 달린 것 같습니다. "김인호돼지박사"님도 맛있는 식사하시고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본문과 아무 상관없는 댓글입니다.
이틀인가 사흘만에 왔는데 디자인이 싹 바뀌었네요.
방문자의 댓글과 그 댓글에 붙은 도아님의 댓글이 잘 구분이 안 된다는 것만 빼면
-물론 신경쓰고 보면 구분 안 될 수가 없지만 빠르게 스크롤 내리면서는 확인이 잘 안 되네요.-
아주 산뜻하고 좋은것 같습니다.
이틀인가 사흘만에 왔는데 디자인이 싹 바뀌었네요.
방문자의 댓글과 그 댓글에 붙은 도아님의 댓글이 잘 구분이 안 된다는 것만 빼면
-물론 신경쓰고 보면 구분 안 될 수가 없지만 빠르게 스크롤 내리면서는 확인이 잘 안 되네요.-
아주 산뜻하고 좋은것 같습니다.
도아 DEL
(2008/11/14 12:11)댓글에 댓글이 연속으로 달린 경우에는 저도 구분하기 힘들더군요. 그러나 전반적으로 괜찮은 것 같습니다.
파워블로거..
몇몇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어마어마하게 큰 몇몇분들이 계시긴 합니다...
굳이 파워블로거를 얘기하자면.. 그 몇몇분들만 언급하고...
나머지 평민(?)들은 그냥 블로거라고 지칭하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서열화가 좋은것은 아니지만..
좋으쪽으로의 발전. 예를들면 각 블로그의 질적향상같은 것들은..
가장 활발히 활동하시거나.. 파급효과가 큰 몇몇 블로거님들께 이러한 호칭을 붙여서..
조금 더 좋은 정보와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면 어떨가 합니다..
단지.. 선정기준에 대해서는.. 할말이 없군요..
선정기준이 애매모호하다면.. 그냥 없는편이 좋겠찌요..
하지만. 대부분의 블로거가 수용가능한 기준이 마련된다면..
그 기준으로 선정된 파워블로거 몇몇은 선정해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몇몇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어마어마하게 큰 몇몇분들이 계시긴 합니다...
굳이 파워블로거를 얘기하자면.. 그 몇몇분들만 언급하고...
나머지 평민(?)들은 그냥 블로거라고 지칭하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서열화가 좋은것은 아니지만..
좋으쪽으로의 발전. 예를들면 각 블로그의 질적향상같은 것들은..
가장 활발히 활동하시거나.. 파급효과가 큰 몇몇 블로거님들께 이러한 호칭을 붙여서..
조금 더 좋은 정보와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면 어떨가 합니다..
단지.. 선정기준에 대해서는.. 할말이 없군요..
선정기준이 애매모호하다면.. 그냥 없는편이 좋겠찌요..
하지만. 대부분의 블로거가 수용가능한 기준이 마련된다면..
그 기준으로 선정된 파워블로거 몇몇은 선정해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도아 DEL
(2008/11/15 08:46)파급효과가 어머 어마하게 큰 분은 보통 알파 블로거라고 부릅니다. 알파 블로거로 칭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되지 않기 때문에 파워 블로거라는 실체 없는 말이 만들어 진 것이죠.
저도 파워블로거라는 단어는 선호하지 않지만 이미 한국에서는 일반화가 되어버려서 ㅠㅠ 인기 블로거, 스타 블로거, 알파 블로거 등등 좋은 말도 많은데~
그렇지만 서열을 매기는 걸 워낙 좋아하는 습성을 가진 것이 인간이라(당하는 사람은 기분 나쁘지만..), 그리고 효용도 높기때문에 사라지긴 어렵지 않나 생각됩니다.
미국의 경우도 구글 페이지 랭크와 테크노라티, RSS구독자수 등으로 Matrix화하여 순위를 매기고 있던데요, 관련 내용 트랙백 놓고 갑니다~
그렇지만 서열을 매기는 걸 워낙 좋아하는 습성을 가진 것이 인간이라(당하는 사람은 기분 나쁘지만..), 그리고 효용도 높기때문에 사라지긴 어렵지 않나 생각됩니다.
미국의 경우도 구글 페이지 랭크와 테크노라티, RSS구독자수 등으로 Matrix화하여 순위를 매기고 있던데요, 관련 내용 트랙백 놓고 갑니다~
도아 DEL
(2008/11/15 08:47)예. 우리나라는 상술과 맞물려 이미 일반화되었습니다. 그덕에 사용하지 말라고 해도 모두들 사용하더군요. 그리고 트랙백 감사합니다.
앗, 문제의식의 시작이 되었던 글이 제가 쓴 글(마르크스는 파워 블로서 소동의 해결책을 어떻게 볼까?)의 트랙백으로 달리다니 영광이네요 ^^ 도아님 블로그는 자주 방문하고 있습니다. 배우는 것도 많고요!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ㅋ
도아 DEL
(2008/11/18 10:49)예. 감사합니다. 저 역시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이건뭐.. 내용도 없고, 결론도 없고..
네이버 파워 블로거 라는건 네이버에서 선정한것 뿐이지.. 그럼 네이버에게 뭐라고 해야지 파워 블로거 모두에게 딴지를 거는지 알수 없음..
글을 쓰려면 내용이 있던가.. 아니면 제목을 낚는 제목을 하지 말던가..
조중동이랑 틀린게 무엇인가...!
네이버 파워 블로거 라는건 네이버에서 선정한것 뿐이지.. 그럼 네이버에게 뭐라고 해야지 파워 블로거 모두에게 딴지를 거는지 알수 없음..
글을 쓰려면 내용이 있던가.. 아니면 제목을 낚는 제목을 하지 말던가..
조중동이랑 틀린게 무엇인가...!
도아 DEL
(2008/11/19 16:56)글 보세요. "파워 블로거라는 말은 실체가 없는 말이다"가 결론입니다. 그러니 "파워 블로거"라는 말을 쓰지 말자는 글입니다. 아울러 블로거를 까는 내용은 없습니다.
눈은 있어도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 글을 읽어도 이해할 줄 모르는 사람, 많습니다. 다만 권고하건데 님 머리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순서인 것 같으니 업그레이드를 먼저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도아님.
월간 w.e.b.의 이예근 기자입니다. ^^
지난 번 도움에 감사드린다는 인사를 드리지 못했네요. 감사하구요.
항상 블로그와서 감탄만 하다 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파워 블로거는 그 실체가 없지만 블로거 파워나 블로그 파워는 분명한 실체가 있다는 점이다. "이 부분이 심히 맘에 와닿네요.
월간 w.e.b.의 이예근 기자입니다. ^^
지난 번 도움에 감사드린다는 인사를 드리지 못했네요. 감사하구요.
항상 블로그와서 감탄만 하다 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파워 블로거는 그 실체가 없지만 블로거 파워나 블로그 파워는 분명한 실체가 있다는 점이다. "이 부분이 심히 맘에 와닿네요.
도아 DEL
(2008/11/20 16:46)블로그도 가지고 계셨군요. 잘 지내시죠?
평상시 제 생각입니다. 너무 파워 블로거, 파워 블로거 하는 것이 보기에 좋지 않더군요.
안녕하세요...^^ 그동안 눈팅만 하다가 남기는 첫 댓글인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어떤 명사 앞에 Power를 붙여서 '전문가' 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Microsoft Windows NT 시스템의 계정 그룹 이름 중에도 'Power Users'가 있으니까요...
물론 어디까지나 '전문가', '실력이 좋다'라는 수식어는 주관적인 부분이 크게 작용되기 때문에 실체가 없는 말이라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요즘에는 어떤 명사 앞에 Power를 붙여서 '전문가' 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Microsoft Windows NT 시스템의 계정 그룹 이름 중에도 'Power Users'가 있으니까요...
물론 어디까지나 '전문가', '실력이 좋다'라는 수식어는 주관적인 부분이 크게 작용되기 때문에 실체가 없는 말이라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도아 DEL
(2009/10/30 13:11)파워는 전문가가 아니라 영향력을 의미합니다. 전문가라면 프로가 붙어야 맞죠. 또 전문가라면 기준이 있습니다.
댓글 참여횟수가 한번이 아니라 여러번 했었군요...댓글 갯수가 너무 많아서 헤아리질 못했었네요...늘 좋은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도아 DEL
(2014/01/02 09:29)감사합니다.
김인호돼지박사 명함이 김인호동물박사 로 바뀐 날입니다...홀로서기가 시작된 뜻깊은 날이기도 하고요...동물원 컨설턴트 활동이 아지랑이삼십일(새끼전용 동물사료) 제품 공급 때문에 필요해졌습니다...이 곳 댓글을 해마다 달고 간 것 같네요...늘 행복한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도아 DEL
(2016/01/30 15:30)예. 오랜만에서 오셔서 저도 무척 반갑습니다...
(2008/11/13 13:13)
아니,, 이렇게 서로간의 의견이 오가고, 논쟁이 있으니까 블로그라고 할 수 있는것인지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