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집에서 LG070을 쓰고 있습니다.
깔끔한 음질이 핸드폰보다 더 감도가 좋더라구요~
거의 070 사용자와 통화를 하다보니, 매월 요금은 기본료 안팎이구요..
무선 인터넷만 되면 어디서든 쓸 수 있어서 참 좋은것 같아요 ㅎㅎ
덕분에 NDSL Wi-Fi 게임을 집에서도 회사에서도 할 수 있게 되어서 더 좋았다능.. ㅎㅎㅎ
와이즈홈은 아직 어떤지를 몰라서.. ^^;
깔끔한 음질이 핸드폰보다 더 감도가 좋더라구요~
거의 070 사용자와 통화를 하다보니, 매월 요금은 기본료 안팎이구요..
무선 인터넷만 되면 어디서든 쓸 수 있어서 참 좋은것 같아요 ㅎㅎ
덕분에 NDSL Wi-Fi 게임을 집에서도 회사에서도 할 수 있게 되어서 더 좋았다능.. ㅎㅎㅎ
와이즈홈은 아직 어떤지를 몰라서.. ^^;
도아 DEL
(2008/11/06 15:57)저는 myLG070은 워낙 디어서... 이름만 들어도 싫더군요. Wi-Fi만 되면 어디나 가능한 것은 큰 매력이고요. 다만 음질은 와이즈홈이 더 좋습니다. 통달 거리도 더 길고요.
kkommy DEL
(2008/11/06 16:08)아.. 거리가 더 길군요..
가끔 회사에 가지고 전화를 할 때, 조금만 멀리가도 뚝 끊기던데.. ㅠㅠ
와이즈홈의 음질은 어떤지 경험해봐야 알 수 있겠어요~ ^^;;
50m거리밖에서도 깨끗한 통화음이라..경악입니다.
이정도면 집전화가 아니라 핸드폰이네요.
현재 mylg070 이용중이고 신형?(기능단순화버전)으로 교체를 받아 이용중입니다.
신형?단말기에는 수신기와 충전거치대를 분리를 하여 나름 많이 개선이 되었습니다.
거치대도 조그마한 유선형이고 귀엽습니다.
근데..수신기와 거래 50m거리에서도 깨끗한 통화라..부럽습니다..^^
근데..정말 궁금한 점이 070 가입자간 무료라는데 mylg070 과 삼성와이즈홈간 통화도 무료일지? 정말 궁금..^^;;
도아님 언제 저와 한번 통화를..흐흐
또한 일반전화번호 그대로 인터넷전화를 이용시 인터넷전화 요금이 적용이 안된다고 하네요.
이정도면 집전화가 아니라 핸드폰이네요.
현재 mylg070 이용중이고 신형?(기능단순화버전)으로 교체를 받아 이용중입니다.
신형?단말기에는 수신기와 충전거치대를 분리를 하여 나름 많이 개선이 되었습니다.
거치대도 조그마한 유선형이고 귀엽습니다.
근데..수신기와 거래 50m거리에서도 깨끗한 통화라..부럽습니다..^^
근데..정말 궁금한 점이 070 가입자간 무료라는데 mylg070 과 삼성와이즈홈간 통화도 무료일지? 정말 궁금..^^;;
도아님 언제 저와 한번 통화를..흐흐
또한 일반전화번호 그대로 인터넷전화를 이용시 인터넷전화 요금이 적용이 안된다고 하네요.
도아 DEL
(2008/11/06 16:00)깨끗하기는 하지만 50m 밖에서는 끊어집니다. 그리고 myLG070과 와이즈홈은 무료 통화가 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번호 이동을 해도 인터넷 요금만 납부하면 됩니다. 대신에 전화번호 유지비용이 추가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와이즈홈은 번호 이동으로 가입한 것이 아니라 똑 같은지는 모르겠지만 myLG070은 그랬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참고로 만약 일반전화 번호로 이용할 때 인터넷 요금이 되지 않는다면 굳이 번호 이동을 할 필요는 없겠죠.
첨언 하자면....
lanis.co.kr에 가면 리뷰가 있고 스팩이 나와잇습니다.
1.7ghz대인것으로 보아 2.4ghz를 사용하는 Wi-Fi에 비해서 운융시 범위가 넓을수 밖에 없다고 하는군요.
물론 출력에따라서 또 차이나는 부분이지만...
음성신호가 인터넷을 타고 들어가는 부분에 있어서... LG는 음성신호를 인터넷신호로 바꾸는 과정을 단말기에서 처리했다면 삼성은 음성신호가 유선단말기로 들어가서 인터넷 신호로 바뀌는 것이므로 아무래도 단순한 구조쪽인 삼성쪽이 더 유리하지 않을까란 생각을 해봅니다.
lanis.co.kr에 가면 리뷰가 있고 스팩이 나와잇습니다.
1.7ghz대인것으로 보아 2.4ghz를 사용하는 Wi-Fi에 비해서 운융시 범위가 넓을수 밖에 없다고 하는군요.
물론 출력에따라서 또 차이나는 부분이지만...
음성신호가 인터넷을 타고 들어가는 부분에 있어서... LG는 음성신호를 인터넷신호로 바꾸는 과정을 단말기에서 처리했다면 삼성은 음성신호가 유선단말기로 들어가서 인터넷 신호로 바뀌는 것이므로 아무래도 단순한 구조쪽인 삼성쪽이 더 유리하지 않을까란 생각을 해봅니다.
도아 DEL
(2008/11/06 17:03)그런 구조외에도 IP-DECT 자체가 보안이나 거리면에서 유리합니다. 또 기능이 하나가 빠졌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단순하고요. myLG070은 처음부터 분리형으로 나왔다면 아마 평이 이렇게 나빠지지는 않았을 것같습니다.
엘지070 썼습니다. 해지했습니다. -_-;
인터넷전화에대한 안좋은 기억이 생겼습니다.
삼성...음....
인터넷전화에대한 안좋은 기억이 생겼습니다.
삼성...음....
도아 DEL
(2008/11/06 18:43)저도 똑 같습니다. 워낙 않좋은 추억이 있어서...
좋은 글 입니다. 인터넷전화를 놓을까 생각중인데 저에게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아 DEL
(2008/11/06 18:43)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망사업자와 서비스 사업자가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 장점일 수도 있긴 하겠습니다만,
어찌보면 망 사업자가 세금과 사업비로 구축하고 사용자가 요금을 내면서 유지되고 있는 인터넷 인프라에 서비스사업자가 무임승차하는 것 아닌가요?
뭐, 어떤 형태로든 서비스 사업자가 망 사업자에게 망 사용료에 해당하는 댓가를 지불하고 있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남이 구축한 인프라에 무임승차하는 행태로 보입니다만......
어찌됐든, 저도 인터넷 전화를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습니다만... 와이즈홈은 "삼성이기 때문에" 일단 제껴놓고 있습니다.
뭐가됐든, 그야말로 삼성 말고는 없고 쓰지 않을 수 없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은 다음에야 "삼성"이 들어간 모든 것은 제겐 고려의 대상이 아니라서.......
덧 : "무임승차"에 대해 생각 해 봤습니다.
어찌보면 인터넷으로 돈 버는 기업들은 사실상 다 해당되는 얘길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 와이즈홈 같은 경우, 그렇게 남들의 노력과 가치가 들어간 - 열린 인터넷 - 망을 이용하면서, 정작 자신들은 - 닫힌 - IP-DECT 방식을 쓴다는데서 반감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즉, 남의 망을 마치 자신의 것인 양 닫아걸고 쓴다는 것이죠.
어찌보면 삼성에서 갈라져나간 네이버의 행태와 닮아있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열린 인터넷 공간에서 닫힌 네이버... 열린 남의 망을 닫아걸고 쓰는 삼성...
뭐, 과민반응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제겐 그렇게 보이네요...... 결국, 제가 와이즈홈에 관심을 갖지 않을 이유가 하나 더 늘어난 셈이군요......^_^;;
어찌보면 망 사업자가 세금과 사업비로 구축하고 사용자가 요금을 내면서 유지되고 있는 인터넷 인프라에 서비스사업자가 무임승차하는 것 아닌가요?
뭐, 어떤 형태로든 서비스 사업자가 망 사업자에게 망 사용료에 해당하는 댓가를 지불하고 있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남이 구축한 인프라에 무임승차하는 행태로 보입니다만......
어찌됐든, 저도 인터넷 전화를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습니다만... 와이즈홈은 "삼성이기 때문에" 일단 제껴놓고 있습니다.
뭐가됐든, 그야말로 삼성 말고는 없고 쓰지 않을 수 없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은 다음에야 "삼성"이 들어간 모든 것은 제겐 고려의 대상이 아니라서.......
덧 : "무임승차"에 대해 생각 해 봤습니다.
어찌보면 인터넷으로 돈 버는 기업들은 사실상 다 해당되는 얘길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 와이즈홈 같은 경우, 그렇게 남들의 노력과 가치가 들어간 - 열린 인터넷 - 망을 이용하면서, 정작 자신들은 - 닫힌 - IP-DECT 방식을 쓴다는데서 반감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즉, 남의 망을 마치 자신의 것인 양 닫아걸고 쓴다는 것이죠.
어찌보면 삼성에서 갈라져나간 네이버의 행태와 닮아있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열린 인터넷 공간에서 닫힌 네이버... 열린 남의 망을 닫아걸고 쓰는 삼성...
뭐, 과민반응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제겐 그렇게 보이네요...... 결국, 제가 와이즈홈에 관심을 갖지 않을 이유가 하나 더 늘어난 셈이군요......^_^;;
도아 DEL
(2008/11/06 18:45)삼성이나 네이버나 그 놈이 그놈이죠. 사실 따지고 보면 네이버 보다는 네이버에 기술을 전수한 삼성이 더 죽일 놈이고요. 다만 무선 AP문제는 myLG070도 아무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울러 myLG070도 망과 별도로 서비스만 가입할 수도 있습니다. 즉 이부분은 무임승차라기 보다는 VoIP를 활성화하면서 협의가 된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myLG070 을 쓰고있습니다..^^..
저는 잘 쓰고 있거든요....그런데 읽다보니 제가 받은 전화기랑은 좀 다른거네요..
저는 무선 ap를 따로 받았거든요...일체형이 아니고 거치대는 거치만 하는걸로..
아마 문제가 있어서 바뀐건지도 모르겠네요..(전화기도 공짜로...주더라구요...여기에 넘어갔습니다...^^)
뭐 아직까진 별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에 인터넷전화기가 이뻐보이네요...ㅎㅎㅎ
저는 잘 쓰고 있거든요....그런데 읽다보니 제가 받은 전화기랑은 좀 다른거네요..
저는 무선 ap를 따로 받았거든요...일체형이 아니고 거치대는 거치만 하는걸로..
아마 문제가 있어서 바뀐건지도 모르겠네요..(전화기도 공짜로...주더라구요...여기에 넘어갔습니다...^^)
뭐 아직까진 별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에 인터넷전화기가 이뻐보이네요...ㅎㅎㅎ
도아 DEL
(2008/11/06 18:46)제가 사용한 모델은 초기 모델이고 이 모델이 문제가 많아서 분리형으로 바뀌었습니다. 제 다른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일체형을 분리형으로 바꿔 달라고 했는데 전화기는 사용자가 구입한 것이라 못바꿔 주겠다고 해서 결국 해지, 재가입 하려고 하다가 고객 센터에 물려서 해지한 것입니다.
흠.. 신기하네요. 저는 일반 전화는 안쓰지만 고향집에서 부모님이 쓰고 계신데, 2시간 넘게 통화해도 다운되거나 음질이 나빠지는 일은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 기계가 좀 안정성에 "?"가 있나 보군요.
역시 인생은 뽑기를 잘해야 -0-;;
역시 인생은 뽑기를 잘해야 -0-;;
도아 DEL
(2008/11/06 18:47)분리형인지 일체형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일체형은 상당히 많은 부분 문제가 있었고 그래서 myLG070측에서도 분리형으로 바꾼 것이니까요.
인터넷 전화라. 전 전혀 모르는 것이었네요. 저런 것도 있구나.
도아 DEL
(2008/11/06 19:31)예. 통화품질은 괜찮은 편입니다.
다른 분들도 언급하셨듯 myLG070도 분리형으로 바뀐지 꽤 됐습니다.
무선 AP따로 있어 편하고 통화감도 좋더군요.
그러나, 통화 길게 하면 전화기가 불덩이가 되고
더 불나는 것은 LG데이콤의 엉망진창 고객관리서비스입니다.
도아님 예전 글에서 LG계열사의 고객관리시스템에 대해 언급한 글을 봤는데
100번 공감하구요, 엉망진창 관리가 계속된다면 고객이탈도 가속화되겠죠.
사용량이 조금이라 그냥 쓰고 있는데 바꿀 때 와이즈홈도 고려해봐야겠네요.
무선 AP따로 있어 편하고 통화감도 좋더군요.
그러나, 통화 길게 하면 전화기가 불덩이가 되고
더 불나는 것은 LG데이콤의 엉망진창 고객관리서비스입니다.
도아님 예전 글에서 LG계열사의 고객관리시스템에 대해 언급한 글을 봤는데
100번 공감하구요, 엉망진창 관리가 계속된다면 고객이탈도 가속화되겠죠.
사용량이 조금이라 그냥 쓰고 있는데 바꿀 때 와이즈홈도 고려해봐야겠네요.
도아 DEL
(2008/11/06 19:34)제 글의 링크를 읽어 보면 알 수 있지만 일체형을 분리형으로 바꾸려고 하다가 해지한 것입니다. 또 더 중요한 것은 일체형 물량이 남아 있어서 일체형 사용자는 분리형으로 바꿔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분리형이 나온지오래됐지만 가입한지 조금 된 사람들 모두 그림의 떡이죠.
그리고 고객센터는 정말 엉망입니다. 약속도 안지키고,,, 고객 만족 센터와 통화를 하고 고객 만족 센터때문에 최종적으로 해지하기로 결정했으니,,, 고객 만족 센터가 아니라... 고객 퇴출 센터로 이름을 바꿔야 되겠더군요.
그리고 열이 심하기는 합니다. 그러나 저는 장시간 통화가 많지 않아서 그렇게 불편하지는 않았는데,,, 단말기 때문에 결국 해지했습니다. 조금 더 사용해 봐야겠지만 일단 와이즈홈은 그런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인터넷 전화가.... 쓸만해요.. 이젠 그냥 쓰던번호 그대로 쓸수있는 제도가 생겼지만..
머 어디서 카던데 기업용 인터넷전화가 프리킹이 쉽다고 카더랍니다.. 그럴까요?
머 어디서 카던데 기업용 인터넷전화가 프리킹이 쉽다고 카더랍니다.. 그럴까요?
도아 DEL
(2008/11/07 01:55)그런면도 있죠. 그러나 인터넷 전화가 아니라 무선 전화는 다 쉽습니다.
크게 잘못된건 아니지만 내용중 모르시는 부분이 있는것 같아서 수정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다산은 삼성에서 분사한 벤처입니다. 말은 분사했지만 사실상 삼성의 지배를 받고 있는 계열사입니다.
도아 DEL
(2008/11/07 07:15)무엇을 수정하라는 것인지요. 다산이 삼성에서 분사한 벤처라고 해서 달라지는 것이 있나요?
그리고 다산이 삼성에 분사한 벤처라는 말은 어디에서 근거하는 것인지요. 다산TPS는 벤처라는 말이 생기기 훨씬 전인 1993년에 설립된 다산 기연(현 다산네트웍스)에서 분사한 것입니다. 도무지 알고 이야기하는 것인지 아니면 헛소문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모르겠군요.
저는 외국이라 인터넷 전화기가 필수(?) 인지라, 하나 장만을 했었습니다.
제가 인터넷 전화기 구하던 당시에는 myLG070 이 전화기를 무료로 주고, wyz070 은 유료여서 myLG070 를 선택했었습니다.
솔직히... wyz070 이 무료였더만 당연히 wyz070 을 선택했을 겁니다. =_=;; (공짜에 약해서...)
제가 인터넷 전화기 구하던 당시에는 myLG070 이 전화기를 무료로 주고, wyz070 은 유료여서 myLG070 를 선택했었습니다.
솔직히... wyz070 이 무료였더만 당연히 wyz070 을 선택했을 겁니다. =_=;; (공짜에 약해서...)
도아 DEL
(2008/11/07 01:57)제가 가입했을 때에는 myLG070도 유료였습니다. 지금은 둘다 무료이지만요.
봉사회일로 전화거는 일이 많아서
저도 따로 인터넷전화 가설했어요.
사용한느데, 불편이 없더군요.
저도 따로 인터넷전화 가설했어요.
사용한느데, 불편이 없더군요.
도아 DEL
(2008/11/07 07:54)네트웍이 끊어지면 안된다는 것을 빼면 사용하는데 문제는 거의 없더군요.
공짜로된 인터넷 전화 써 본 기억이 있네요.
자주 사용은 안하지만 그래도 전화기로 전화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자주 사용은 안하지만 그래도 전화기로 전화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도아 DEL
(2008/11/07 07:55)한국에서 인터넷 전화는 전화기와 전화번호를 모두 제공합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통화한다는 것을 빼면 일반전화와 똑 같습니다. 한국에 친지분과 통화가 많으시면 LG단말기 하나를 구입하셔서 인터폰처럼 사용하셔도 됩니다. 적어도 한국으로 전화하는 요금은 거의 들지 않습니다.
50미터;; 80미터;; 충격과 공포네요..
삼성의 인터넷 전화는 블랙잭을 단말기로 쓸 수도 있었는데..
참.. 세상 좋아졌어요 ㅎㅎ
삼성의 인터넷 전화는 블랙잭을 단말기로 쓸 수도 있었는데..
참.. 세상 좋아졌어요 ㅎㅎ
도아 DEL
(2008/11/07 10:12)걸음 걸이로 잰 것이라 아주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제 큰 걸음으로 50보까지는 깨끗하게 들리더군요. 거의 900MHz 무선 전화 수준인 것 같더군요.
잘 봤습니다. 저도 유선전화를 인터넷전화로 바꾸려고 생각중인데 KT는 단말기(전화기)를 공짜로 주는 이벤트는 안하더군요. 그렇다고 파워콤이나 삼성쪽으로 가기는 꺼려지고...KT의 메가패스를 사용중이어서 KT 인터넷전화 사용하려고하는데 단말기 가격때문에 좀 망설여지네요. KT도 좀 단말기 공짜 이벤트 좀 했으면 좋으련만...
도아 DEL
(2008/11/07 11:58)KT는 인터넷 전화에 열을 올릴 필요가 없으니까요. 인터넷 전화가 활성화되면 유선 전화가 죽기 때문에 열을 올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물론 이러다가 인터넷으로 모두 뺏끼면 그때는 부랴 부랴 돈을 바르겠지만요.
비상시의 대처는.. 그냥 핸드폰으로 한다고 생각하고 써야죠.
망사업자이지만 lg070과 삼성 네트웍스의 중간 정도의 역할로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도 고려 해 볼 만 합니다.
자체 단말기가 없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이번에 새로 단말기가 나왔는데 스펙 자체는 삼성이랑 비슷하게 IP-DECT를 사용합니다. 이거 프로모션을 11월 10일부터 시작한다고 하더군요.
망사업자이지만 lg070과 삼성 네트웍스의 중간 정도의 역할로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도 고려 해 볼 만 합니다.
자체 단말기가 없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이번에 새로 단말기가 나왔는데 스펙 자체는 삼성이랑 비슷하게 IP-DECT를 사용합니다. 이거 프로모션을 11월 10일부터 시작한다고 하더군요.
도아 DEL
(2008/11/07 13:15)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도 써봤습니다. myLG070보다 더 학을 띤 업체입니다. 통화내역 하나 받는데 전화를 수십번도 더하고 무려 한달이 걸려서 받았습니다. 검색에서 하나로라고 입력하면 관련 글이 나옵니다.
저도 올 여름에 기기 공짜로 준다길래 엘지 것으로 2개를 받아 그중 하나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항상 거실전화 받으러 이동하기 귀찮았는데, 제 방에 책상 위에 떡하니 비치해 두니까 편해서 참으로 좋습니다.
게다가 다행스럽게도 쥔장님하고는 다르게 분리형인데다 유무선 공유기도 공짜로 받은 터라 별로 단점은 신경 쓰지 않고 사용해 왔는데, 이제보니 그런 문제들이 있었군요.
근데..인터넷 전화라는 게 다 그런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다운로드 받을 땐 통화에 영향을 미치거나 하나요?
통화감도가 팍 떨어지더라고요.. 엘지라서 그런건지 인터넷 전화의 특성 때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만..음
아무튼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항상 거실전화 받으러 이동하기 귀찮았는데, 제 방에 책상 위에 떡하니 비치해 두니까 편해서 참으로 좋습니다.
게다가 다행스럽게도 쥔장님하고는 다르게 분리형인데다 유무선 공유기도 공짜로 받은 터라 별로 단점은 신경 쓰지 않고 사용해 왔는데, 이제보니 그런 문제들이 있었군요.
근데..인터넷 전화라는 게 다 그런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다운로드 받을 땐 통화에 영향을 미치거나 하나요?
통화감도가 팍 떨어지더라고요.. 엘지라서 그런건지 인터넷 전화의 특성 때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만..음
아무튼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아... 음.. 그런데 팩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한번 더 고려하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울 어무이께 인터넷전화를 신청해드렸더니 이쁘고 편하다고 좋아하셨습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날 기존의 KT 집전화를 해지하셨다네요.
그런데 며칠 후 팩스를 연결해달라고 전화를 하셨는데... 인터넷 전화로는 팩스를
사용할 수 없다고 알려드렸더니만...
다시 KT전화를 따로 신청하셨거든요.
혼자 사시는데 전화 라인 두개를 쓰기가 뭣해서 둘 중 어떤걸 해지해드려야 하는지 고민하며
아직은 라인을 두개 모두 사용중입니다.
울 어무이께 인터넷전화를 신청해드렸더니 이쁘고 편하다고 좋아하셨습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날 기존의 KT 집전화를 해지하셨다네요.
그런데 며칠 후 팩스를 연결해달라고 전화를 하셨는데... 인터넷 전화로는 팩스를
사용할 수 없다고 알려드렸더니만...
다시 KT전화를 따로 신청하셨거든요.
혼자 사시는데 전화 라인 두개를 쓰기가 뭣해서 둘 중 어떤걸 해지해드려야 하는지 고민하며
아직은 라인을 두개 모두 사용중입니다.
도아 DEL
(2008/11/08 18:58)팩스를 받는 것이라면 인터넷 팩스로 받는 것이 더 편합니다. 그러나 보내는 것이라면 아무래도 나이드신 분들이 바로 보내기는 힘듭니다.
음... 포터블 게임기에도 인터넷 전화가 달린걸 봤었는데.. 아마 PSP의 SKYPE 하고 닌텐도 DS의 뭐시기 였던것 같은데... 국내는 모르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어느정도 상용화가 된것 같더라구요;;(물론 대도시려나;;)
도아 DEL
(2008/11/10 10:58)그런 전화와는 개념이 조금 다릅니다. 물론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요. 사실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가 되면 와이파이로 전화하면 되니까 굳이 인터넷 전화를 구분할 필요도 없기는 하죠.
음.. 그러니까 인터넷 전화기로도 일반 전화기에 전화걸고
모든걸 일반 전화기처럼 할 수 있다는 건가요???
요즘 워낙 핸드폰만 쓰다보니까 관심도 없었는데 하나 갖고 싶네요;
모든걸 일반 전화기처럼 할 수 있다는 건가요???
요즘 워낙 핸드폰만 쓰다보니까 관심도 없었는데 하나 갖고 싶네요;
도아 DEL
(2008/11/10 10:58)예. 팩스를 빼면 거의 다 됩니다. 더구나 약정시 공짜로 전화기에 공유기까지 주니... 괜찮습니다.
저거 지금 외국에서 쓰고 있는데... 미국은 워낙에 한국보다 회선이 안좋아서 걱정했더니만, 그래도 전화는 가네요... 쓸만하구요.
토네이도 불때, 인터넷 많이 끊기던데, 그때마다 전화가 끊어진다니 ㅋㅋㅋㅋ;;;;
아, 저 단말기를 컴퓨터로 조종한다는말 비슷한게 있는데, 무슨 뜻인가요...?
그리구, 저 무선AP를 라우터에서 스위치로 바꿨더니, 웹 접속이 안되는데... 어떻게 안될까요??
원래 쓰던 무선라우터가 있는데, 걔를 모뎀-ap-router 식으로 연결하니깐, 라우터 속도가 엄청 느려지길래, 모뎀-router-ap식으로 끼웠구요... 그래도 전화는 되서요... 그런데, AP를 라우터식으로 하니깐, 다른 유선컴퓨터들과 파일공유가 안되길래 스위치로 바꾸니깐, 웹에 접속이 안되는 현상이네요 ㅠ
토네이도 불때, 인터넷 많이 끊기던데, 그때마다 전화가 끊어진다니 ㅋㅋㅋㅋ;;;;
아, 저 단말기를 컴퓨터로 조종한다는말 비슷한게 있는데, 무슨 뜻인가요...?
그리구, 저 무선AP를 라우터에서 스위치로 바꿨더니, 웹 접속이 안되는데... 어떻게 안될까요??
원래 쓰던 무선라우터가 있는데, 걔를 모뎀-ap-router 식으로 연결하니깐, 라우터 속도가 엄청 느려지길래, 모뎀-router-ap식으로 끼웠구요... 그래도 전화는 되서요... 그런데, AP를 라우터식으로 하니깐, 다른 유선컴퓨터들과 파일공유가 안되길래 스위치로 바꾸니깐, 웹에 접속이 안되는 현상이네요 ㅠ
도아 DEL
(2009/01/04 07:43)이 글에 나오는 전화기는 그냥 인터넷 전화기이며 외국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무선 공유기 기능도 없는 것이고요. 외국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Wi-Fi를 이용하는 myLG070입니다. 또 모뎀-ap-router로 하더 모뎀-router-ap로 하던 설정만 맞으면 다 잘되어야 정상입니다.
다만 제공한 정보만으로 다른 답변을 하는 것은 조금 힘듭니다. 저는 myLG070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2008/11/06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