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도가 위험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높군요;;;
한번 들어가 봤는데,, 스키드 마크 남기며 미끄러지는 차를 발견했습니다.,..ㄱ-;;
언제찍은 위성사진인지 안다면 자기 자신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한번 들어가 봤는데,, 스키드 마크 남기며 미끄러지는 차를 발견했습니다.,..ㄱ-;;
언제찍은 위성사진인지 안다면 자기 자신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도아 DEL
(2008/10/28 16:26)지금도 위험하지만 조금 더 세밀해지면 더 재미있겠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영화 [이글아이]가 실존하고 있었던 겁니다.!!!! 꺄~~~~
도아 DEL
(2008/10/28 16:26)오늘 재미없다는 글을 읽었는데 또 이글 아이가 나오는군요.
우리나라 같으면... 안기부에서 한명이 쳐들어와 손톱밑에 42개의바늘을 꽂을 일이군요
도아 DEL
(2008/10/28 17:27)그쵸. 우리나라는 지도는 국방에서만 사용되니... 저정도면 북한을 돕기위해 만들었다는 죄목을 쒸우면...
길바라기 DEL
(2008/10/28 20:45)그러면 21C 김정호가 되겠지요.ㅋㅋㅋ
음...
해상도라고 하면..
위성은 아니지만.. 허블 망원경을 지구쪽으로 틀어서 관찰하면
개미까지 보인다고 합니다..(실제로 왠만한 상업/정보기관용 위성에 달린 카메라보다는 성능이 월등히 좋지요..)
..
후에, 허블망원경을 거꾸로 뒤집어서 초고해상도의 위성사진(?)을 얻을수 있는 권리를 선점하고자 경쟁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
..
물론, 허블을 뒤집는 일같은건 않하겠죠..
바깥 보기도 바쁜데 안까지 볼 여력이 있으려나..//
해상도라고 하면..
위성은 아니지만.. 허블 망원경을 지구쪽으로 틀어서 관찰하면
개미까지 보인다고 합니다..(실제로 왠만한 상업/정보기관용 위성에 달린 카메라보다는 성능이 월등히 좋지요..)
..
후에, 허블망원경을 거꾸로 뒤집어서 초고해상도의 위성사진(?)을 얻을수 있는 권리를 선점하고자 경쟁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
..
물론, 허블을 뒤집는 일같은건 않하겠죠..
바깥 보기도 바쁜데 안까지 볼 여력이 있으려나..//
도아 DEL
(2008/10/29 04:50)위성은 수명이 있고 그런 위성에는 작고 고성능의 카메라를 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기껏 위성을 쏘고 무거워서 바로 떨어지면 손해니까요.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CCTV가 많은 나라로 알려져있죠. 얼마전에 테러도 CCTV로 잡았을정도로 흔해빠진게 감시카메라라고 합니다. 유튜브같은데도 돌아보면 CCTV에 찍한 각종 영상들이 돌아다니는데 대부분 영국산입니다. 영국인들은 감시에 대해서 많이 무뎌져서 저런 사진까지 나온게 아닌가 싶어요.
도아 DEL
(2008/10/29 04:51)그럴 수도 있겠군요. 국내라면 벌써 사생활 보호 이야기가 나왔을 법합니다.
흠..
'지켜보고 있다'....
생각해보니 무섭네요
'지켜보고 있다'....
생각해보니 무섭네요
도아 DEL
(2008/10/29 12:21)그쵸. 저 정도면 인상은 확인할 수 없어도 행동은 모두 보이니까요.
저런 기술이 발달하는것이 좋은걸까요?..나쁜걸까요?
정말 하늘에서 누군가 내려다 보고 있군요..
정말 하늘에서 누군가 내려다 보고 있군요..
도아 DEL
(2008/10/31 19:59)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다고 봅니다. 한 예로 방법 카메라가 사생활 보호에는 문제가 되지만 범죄 예방에는 도움이 되니까요. 기술은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사용하는 사람의 문제로 귀결되는 것 같습니다.
(2008/10/28 11:43)
덕분에 기억을 되살렸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