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검색과 관련된 것이라면 가리지 않고 흡수하는 군요.(통계자료도 결국은 검색과 연관;;;)
각국 정부에서 해야할 일을 대신 해주는 셈이네요-_-;;
각국 정부에서 해야할 일을 대신 해주는 셈이네요-_-;;
도아 DEL
(2008/10/22 16:12)사용자 입장에서는 좋죠. 대부분 무료로 제공해 주니까요.
참 가만 보면 기발하고 골 때린 서비스 많아요...구글...
어쩔땐 무섭기 까지 합니다.
어쩔땐 무섭기 까지 합니다.
도아 DEL
(2008/10/22 16:13)예. 그래서 구골이라고 하죠.
수명과 출산율은 반비례하는군요.
수명이 짧으면 종족 번식의 욕구(?)가 강해서 그런가 봅니다.
그런데 평균소득이 올라갈수록 출산율은 떨어지네요.
다시 출산율을 높이려면 집집마다 석유 정도는 나와야겠습니다.
수명이 짧으면 종족 번식의 욕구(?)가 강해서 그런가 봅니다.
그런데 평균소득이 올라갈수록 출산율은 떨어지네요.
다시 출산율을 높이려면 집집마다 석유 정도는 나와야겠습니다.
도아 DEL
(2008/10/22 16:13)소득이 높으면 힘을 다른 곳에서 쓰기 때문인가 봅니다.
언젠간 구글이 세계정복을 할 것 같습니다. -_-;
도아 DEL
(2008/10/25 12:05)지금도 이미 점령한 것이 아닌가 싶더군요.
Gapminder은 좋지만 한가지 단점이 있다면,
Y축(세로축)에 개별의 다른 통계자료가 아닌, 연도를 설정해놓거나
그냥 아무것도 배치하지 않았으면 좋겠단 생각도 듭니다.
항상 이용할때면, Y축에는 어떤 통계자료를 놔야하지' 하는 생각떄문에 복잡해져셔요.
Y축(세로축)에 개별의 다른 통계자료가 아닌, 연도를 설정해놓거나
그냥 아무것도 배치하지 않았으면 좋겠단 생각도 듭니다.
항상 이용할때면, Y축에는 어떤 통계자료를 놔야하지' 하는 생각떄문에 복잡해져셔요.
도아 DEL
(2009/02/26 10:21)저도 비슷한 고민을 했습니다. 그러나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이니 큰 상관은 없을 것 같습니다.
혹시 gapminder에서 쓰는 데이터베이스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차트로 비주얼하게 나오는건 좋은데, 통계 데이터 소스가 제대로 표기가 안되어 있는거 같네요. 예로 OECD 통계라든지, UN 이나 WTO 등등 어느 자료를 소스로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도아 DEL
(2009/02/26 10:21)저도 모릅니다.
(2008/10/22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