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상플러스 RE DEL
(2008/10/21 17:35)
무..무슨일일까요.. 전에도 몇번 티스토리 서버가 죽었는데..--
도아 DEL
(2008/10/22 05:41)
티스토리는 잘 죽는 것으로 워낙 유명하니까요.

S2day RE DEL
(2008/10/21 18:11)
워낙에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서 서버 과부하가 걸린게 아닌가 싶네요=_=
안그래도 느린 유튜브... ;;; 끄응~
도아 DEL
(2008/10/22 05:41)
예. 느리죠. 파일이 조금 큰 것은 정말 하세월이더군요.

징징이 RE DEL
(2008/10/21 21:22)
저도 갑자기 사용이 안되어 왜이렇지 하다가
글을 올리고 난 뒤에야 할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더욱 잘 확인할 수 있게끔 했으면 하네요
도아 DEL
(2008/10/22 05:42)
재생까지 안되니... 모르는 사람들은 제 사이트에서 IE를 죽이는 바이러스를 배포하는 것을 착각할 수도 있겠더군요.

카이 RE DEL
(2008/10/21 21:47)
저는 유튜브에 자주 동영상을 올렸었는데 (지금은 전보다는 자주가 아닙니다만) 저런 일 자주 있습니다... 보통 1주일에 한번 정도 있구요... 주로 우리나라시간으로 오전시간에 있습니다. 동영상 보는 건 문제가 없는데 동영상을 올리는게 안되죠...
도아 DEL
(2008/10/22 05:42)
업로드만 안되는 것이라면 글을 올리지 않았습니다. 글에도 있듯이 업도 안되고 재생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그덕에 크롬, IE 모두 죽더군요.

흑익 RE DEL
(2008/10/21 21:48)
유튜브 정도 되는 서버가 죽는 경우도 있군요.. 자주 보지 못한 상황에 당황스럽네요.
도아 DEL
(2008/10/22 05:43)
예. 위의 카이님 이야기처럼 업만 안되는 상황이면 모르는데,,, 재생까지 안되니 조금 당황스럽더군요.

Deborah RE DEL
(2008/10/22 05:56)
ㅎㅎㅎ 위에 글 보고 잠시 웃었습니다.
유튜브도 그렇군아..역시 에러가 있을 수 있군아. 입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이제는 원활하게 사용 할 수 있으시죠? 그렇다면 다행입니다.^^ 잠시 당황하셨겠습니다.
도아 DEL
(2008/10/22 06:01)
지금까지 처음있던 일이라서요. 특히 이글 바로 전에 올린 글에 접속해서 동영상을 재생하면 브라우저가 죽어 버리니... 오해 할만하겠더군요. 그런데 무척 오랜만이신 것 같군요.

DBA RE DEL
(2008/11/05 01:05)
시스템 작업은 상당히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입니다. 국내에서 그렇게 downtime이 없었다라고 하는 것은 야간에 사용자가 적을 때에 엔지니어들이 작업을 했기 때문이지요. 정해진 downtime내에서 작업을 해야 하니 엔지니어 입장에서는 상당히 살벌하게 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작업하다 생기는 버그가 있다면 상당히 곤욕스럽죠..으..;; 업그레이드 다 해놓고 뒤로 돌리자고 하는데 DB가 1테라급이면 restore하는데만 수시간이 걸립니다.(백업시간*1.5배)
참고로 저는 기술지원을 하는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인데 180일 동안 밤샘한 횟수가 62일입니다. 3일에 한번씩 밤샌 꼴이죠.
유투브도 데이터베이스 뿐만 아니라 파일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이 동작을 해야 할 겁니다. 만약 데이터베이스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면 최소 3시간 이상은 걸립니다. 또한 디스크 전환작업 이나 서버 디바이스 펌웨어 업그레이드, 메모리 CPU 및 보드같은 장비교체 등도 상당한 시간을 요합니다. 어떤 서버는 부팅만 하는데 2시간이 족히 걸리기도 하지요(PC아님! 서버~!) 만약에 디스크 장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리부팅에만 2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국민은행 디스크 문제로 3시간 down된 것인데 이것도 상당히 빨리 복구한 겁니다.)
제가 보기에 2시간 downtime을 가져갔다면 어떠한 작업일지는 모르겠지만, 가장 빠르게 서비스를 재개한 시간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렇게 유지보수 시간일 경우에는 불만을 표시하기 보다는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서 엔지니어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다는 표시이니, 그냥 쉬다가 다시 접속해 보세요.
- 엔지니어 왈 -
도아 DEL
(2008/11/05 08:18)
서버 관리 경험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저 역시 대형 서버를 십여년 넘게 관리했기 때문에 그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또 일반적으로 저런 서비스는 분산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번에 먹통이 되는 일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글의 요지는 나쁘다는 뜻이 아니라 저런 대형 시스템에서도 저런 일이 발생한다는 뜻입니다. 한가지 충고하자면 자신이 아는 지식이 세상의 모든 지식으로 알지는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자신이 뛰고 있다고 남도 뛴다는 발상은 어리석은 발상이니까요.

"서버 관리자 왈"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