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ling RE DEL
(2005/01/14 20:47)
우리나라에 무슨 협회들이 그렇게도 많은지.

싱글 같은 경우는 몇몇 가수들이 시도 했죠. 아마 피 봤을 겁니다. 일본은 싱글에 많은 공을 들여 만든다죠. 그래서 싱글을 모아서 발매도 한다고 들었습니다.
어쨌든 이번의 일로 이익 단체들의 무대포성 권리 요구...
도아 DEL
(2005/01/19 15:51)
예. 예전 직장상사분이 하신 얘기입니다. 이나라에 무슨 무슨 협회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기업 등치는 단체로 보면된다고 하더군요.

From.BeyonD RE DEL
(2005/01/14 20:47)
그렇습니다.
지들 뱃속만 채우자고 소비자를 도둑놈으로 몰아서는 안되지요. 제가 오전에 쓴 글이 요지가 비슷해서 트랙백겁니다.
도아 DEL
(2005/01/19 15:52)
요즘 저작권 문제때문에 블로그에 저작권에 관한 글이 많더군요...

아크몬드 RE DEL
(2005/01/14 21:08)
으으;; 정말 스팀이..^^;
도아 DEL
(2005/01/19 15:52)
겨울이니까 스팀이 좀 나도 괜찮지만(?).. 정말 열받는 일이죠.

그림동화 RE DEL
(2005/01/14 21:54)
그쪽 사람들 사람에 대한 믿음이 없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상대방이 처음부터 속인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죠
매출이 100이라 이야기 하면 500인데 감춘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도아 DEL
(2005/01/19 15:54)
맞는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남을 속이지 않는 사람은 남들도 자신을 속이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즉, 저작권 협회 사람들이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아마 지들이 500을 받고 저작자한테 분배할때는 100만 받았다고 속이기 때문일 겁니다.

강 똘 RE DEL
(2005/01/14 22:28)
맞는 야그네요.저는 매탈을 좋아합니다. 국산은 불랙홀 시나위를 좋아하고,태춘이 형님과 은옥이 누님을 좋아해서 발매 씨디는 모두 샀읍니다. 그 시디안에 있는 곡은 모두 좋아해서 차에서 들으면 몇번 돌립니다. 이 씨디들은 본전 다 뽑았지요. 그러나 다른 가수의 씨디들은 한 두곡 정도만 들을만 하지 나머지는 꽝! 그래서 씨디 사기가 아깝죠. 메탈 씨디는 아깝지가 않조. 모두다 맘에 들고 차에서 몇번씩 돌려도 지겹지가 않으니까요. 일반 씨디는 컴퓨터 용어로 "가격대비 성능"이 아주 떨어지는 장비죠.
도아 DEL
(2005/01/19 15:54)
저랑 취향이 비슷하시네요. 정태춘 제가 제일 좋아하는 가수입니다. 제가 학교에 다닐때에는 CDP가 나오기 전이라 태입을 사서 그 태입이 늘어져 나올때까지 들었습니다.

CN RE DEL
(2005/01/14 23:16)
싱글 음반 판매 시도는 다 무산되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유통망이었지요. 시대유감을 담았던 서태지의 앨범의 경우 5000원 이내로 CD를 팔도록 요구했지만 중간 상인들은 일반 앨범과 같은 앨범과 같은 가격으로 팔아먹었습니다. 아직까지 판매량도 측정이 안되는 세계에 뭘 바라겠습니까? :-)
도아 DEL
(2005/01/19 15:57)
가끔 토론 프로나와 음반사들이 하는 얘기를 들어보면 너무 뻔뻔하다는 생각이듭니다. 사실 소비자, 가수의 고혈을 빨아 배불리는 회사가 음반사입니다. 그런데 마치 자신들이 가수의 권익을 보호하기위해 그런 일을 하는 것처럼 떠드는 것을 보면 어떨때에는 역겹기도 합니다.

icecoffee RE DEL
(2005/01/14 23:27)
whoami님과 엮여있는 블로거 입니다. 그곳으로부터 링크타고 날아 왔습니다.
꼭 들어맞는것은 아니지만 트랙백하나 달아놓고 갑니다.
글 잘 보았습니다-
도아 DEL
(2005/01/19 15:58)
님의 블로그를 방문해봤습니다. 재미있는 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고기집 아들 RE DEL
(2005/01/14 23:54)
한탕주의군요..
조금 더 거시적인 안목으로 시대가 변화하는 것을 캣치해야 할텐데..
이 놈의 청년실업, 경제, 문화, 정치..
죄다 왜 이런지 모르겠습니다..

도아님 :: 그러고 보니 저도 학교암 '라르고'에서 6000원이던가에 시대유감 샀던 것으로 기억하네요..그때 예약선물은 포스터..후후
도아 DEL
(2005/01/19 15:58)
판매의 패러다임이 변하는 것만 느꼈어도 아직도 음반 시장의 주체는 저작권 협회와 음반사였을 겁니다. 그러나 그런 변화를 거부한 지금 저작권협회와 음반사는 메이저 음악 사이트의 들러리일 수 밖에 없습니다. 저작권으로 계속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도 아마 이런 심정이 내면에 깔려있을 겁니다.

제인 RE DEL
(2005/01/15 02:29)
음반산업의 문제점으로 좋은 일례가 되는 것 같아서 퍼갔으면 합니다. 괜찮겠죠? ^^ 퍼간곳은 음악사업연구카페입니다. http://cafe.daum.net/musibusi
도아 DEL
(2005/01/19 15:58)
얼마든지 퍼가시기 바랍니다.

유진 RE DEL
(2005/01/15 02:35)
실연자의 권리.. 운운하며 실연자에게 10원한푼 안가는 잇속장사를 해먹는다는게 음협의 가장 큰 욕먹을거리죠..쓰레기속에서 옥석을 골라내고 옥석과 쓰레기는 함께 구매하라는 무대포 정신의 음반사도 참 문젭니다.. ㅡ.ㅡ
도아 DEL
(2005/01/19 15:59)
그렇죠. 사실 저작권은 보호되어야 합니다. 가치있는 컨텐츠라면 댓가를 지불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실제 저작자는 그 댓가의 혜택을 거의 주지않으면서 소비자에게는 말도안되는 바가지를 쒸우는 구조가 문제인 거죠.

농우 RE DEL
(2005/01/15 09:57)
많은 분들이 분개하고 한탄하시는데 이런 좋은 이야기들이 어떻게 엮여서 힘을 발휘할 수는 없는걸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면 고쳐야 하는데...이대로 한탄만 하다가 애국가까지 저작권에 걸려서 부르지 못하게되는건가 하는 불안감... 쓸데없는 글이지만 트랙백 보냅니다.
도아 DEL
(2005/01/19 15:59)
문제의 초점은 방법이 아니라 단결인 것 같습니다. 결국 네티즌들이 단결할 수만 있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고 봅니다. 어떤 방법을 통해 어떻게 단결하느냐가 관건인 것 같고요.

강 똘 RE DEL
(2005/01/15 11:54)
도아님//도 올빼미 족이신가봐요. 저도 올빼미족입니다.
지금은 일요일 새벽에만 올빼미가 됩니다. 옛날 프로그래밍 책 사서 밤새가며 보던 시절이 그립습니다. 지금은... 태춘이형님과 은옥이누님의 노래는 천사들이 부르는 것 같고 희은이누님의 노래는 아주 맑고(청명), 영애누님의 노래는 막걸리처럼 걸죽하죠."코뿔소" 좋죠. 제생각... 아무튼 많은 분들이 저작권협회가 잘못하고 있다고
글을 올리시는군요. "시대변화에 적응을 못 하면 망한다"는게 기업의 생리 같은데, 저작권협회는 그것을 잘 모르는 것 같네요. 시대변화와 소비자들의 생각을 읽지 못하면 음반시장은 서서히 망해갈 수 박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격대비 성능이 떨어지는" 음반을 "오빠부대"는 아무생각없이 살 수도 있겠지만 자기가 "뼈빠지게" 일해서 번 돈으로 음반을 사야하는 사람들은 그렇치 않을 것 같네요.
도아 DEL
(2005/01/19 16:00)
예... 밤을 새는 경우가 많은데,,, 이제는 정상인으로 복귀할 생각입니다. 명작은 시대를 초월할 수 있기때문에 명작이라는 얘기를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요즘은 명작이 없죠. 가수는 사라지고 뻐끄미만 판치는 우리 나라 가요계에 명작을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도 있지만요.
두분 모두 즐거운 하루 되세요.

뱃살.com RE DEL
(2005/01/16 23:24)
트랙쀍 쌔워갑니다-_-/
도아 DEL
(2005/01/19 16:00)
잘 았겠습니다. 그러나 외계어는 쓰지 말아주세요... 제발~~~~~~

애국가 RE DEL
(2005/01/18 17:33)
저작권 문제를 들먹이면서 애국가 사용에 대한 사용료를 말씀을 하시는데... 이것은 좀 와전된 면이 없잖나 하는군요. 애국가를 불러서 이에 대한 사용료를 달라는 것이 아니라, 그 애국가가 담긴 음반 또는 테이프에 대한 저작권을 행사하는 거죠. 학교나 그런 곳이라면 저작권이 제한되는 규정이 있어 그냥 사용해도 되지만 그런 곳이 아닌 소위 영업장인 경우 돈독 오른 음반협회에서 그에 대한 사용료를 달라... 하는거죠. 절대 애국가 원곡에 대한 저작권의 행사는 아닐겁니다.

어떤 저작물이던 그것을 소위 돈벌이에 이용한다면 그에 대한 사용료 내지 사용에 대한 허락을 얻어야 정당하다고 봅니다.

일부 웹페이지에 게재된 게시물들의 경우에도 내가 쓴 글이 다른 곳에 그대로 옮겨져 있으면 기분나쁘다, 어쩌다, 하는데 안 그렇겠습니까?

저작권법의 개정전이나 지금이나 남의 창작물을 아무런 댓가없이 또는 허락없이 무단으로 복제,전송,변형 하는 행위는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는 것에는 변함이 없죠.
도아 DEL
(2005/01/19 16:00)
당연하죠.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말자는 얘기가 아니니까요. 제글은 말도안되는 저작권료를 요구하는 저작권 협회와 사용자에게 바가지를 쒸어왔던 음반사가 음반 시장 불황의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MP3가되든 뭐가 되든 저작권이 있다면 당연히 사용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말해 무었하겠습니까?
마지막으로 애국가는 제가 들먹인 것이 아닙니다. 제글에대한 트랙백(엮인글)입니다. 글을 읽지않고 댓글을 다셨나요?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