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itle: "index of" mp3라 에서요 그럼 이건 해킹인가요? 잡혀가는건 아닌지? 서버에 들어왔다는걸 사이트 관리 자가 알수 있잖아요?
jvm DEL
(2008/06/03 22:33)관리자가 공개해둔 것만 보입니다.
해킹과는 거리가 멉니다.
도아 DEL
(2008/06/04 05:55)모든 인터넷 사이트가 방문자의 방문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것도 해킹일까요? 같은 개념입니다.
네이*나 다* 같은 회사들도 옛날에는 결과내검색이 가능했는데 말이죠..
요즘에는 '이 사이트에서 찾기'. '이 블로그에서 찾기'라는 기능이 있어서 말이죠
요즘에는 '이 사이트에서 찾기'. '이 블로그에서 찾기'라는 기능이 있어서 말이죠
도아 DEL
(2008/06/04 05:56)네이버와 다음은 결과 내 검색을 제공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OR 검색이라 검색어를 늘리면 검색 결과가 주는 것이 아니라 늘기 때문입니다.
구글 자주이용하지만 구글의 스폰서링크도 맨위에 위치해서 좀 짜증나더군요.
그래도 네이버에 비하면 양반이긴하죠.
그래도 네이버에 비하면 양반이긴하죠.
도아 DEL
(2008/06/04 05:56)예. 훨씬 양반입니다. 구글 정도라면 별 문제없이 사용합니다.
무슨 얘긴가 했습니다. 글에서 말씀하신대로 "예전부터 있는" 기능을 소개하실리는 없을거고..
여튼 site: 는 제가 참 많이 쓰는 기능입니다. 특정 키워드로 검색을 한 뒤에 관련 사이트를 추적하고, 해당 사이트를 상대로 site: 를 이용해 재검색하는 방식을 종종 쓰지요. :)
여튼 site: 는 제가 참 많이 쓰는 기능입니다. 특정 키워드로 검색을 한 뒤에 관련 사이트를 추적하고, 해당 사이트를 상대로 site: 를 이용해 재검색하는 방식을 종종 쓰지요. :)
도아 DEL
(2008/06/04 18:16)결과 내 검색을 처음보고 뭐하러 이런 기능을 만들었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사이트 검색도 있더군요. 그리고 site 연산자는 저도 아주 자주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특히 서프라이즈처럼 검색 기능이 미약한 사이트에는 아주 유용합니다.
도아님의 댓글에서 많이 등장하는 "지나가다" 입니다.
구글뿐만 아니라 네이버, 다음, 엠파스 등도 기본적으로 & 연산을 수행합니다.
다만 대부분의 검색 엔진이 &를 사용자가 직접 명기하지 않는 경우 다른 fact에 의해 검색 순위가 변경됩니다.
그리고 검색 결과를 많게 하기 위해 & 다음에 |를 연달아 붙여 보여주기도 합니다. ( 이를 "약논리곱"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마지막으로 .. 네이버 검색창에서 => 도아 우엉 domain:offree.net
으로 검색해보세요.
구글뿐만 아니라 네이버, 다음, 엠파스 등도 기본적으로 & 연산을 수행합니다.
다만 대부분의 검색 엔진이 &를 사용자가 직접 명기하지 않는 경우 다른 fact에 의해 검색 순위가 변경됩니다.
그리고 검색 결과를 많게 하기 위해 & 다음에 |를 연달아 붙여 보여주기도 합니다. ( 이를 "약논리곱"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마지막으로 .. 네이버 검색창에서 => 도아 우엉 domain:offree.net
으로 검색해보세요.
도아 DEL
(2008/06/05 17:28)다음은 AND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네이버는 블로그 검색만 AND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오늘 확인해 보니 네이버도 AND 연산을 수행하는군요. 언제부터 AND 연산으로 바뀌었는지 모르겠군요.
국내 검색엔진은 검색 결과가 많아 보이도록 대부분 OR 연산을 사용했거든요. 다만 네이버까지 AND가 기본이라니 의외입니다.
(2008/06/03 15:05)
(그리고 택배 잘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