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 아내는 무조건 장바구니 들고 갑니다.
요즘 장바구니는 잘 나와서 조그마한 지갑 같은데 펼치면 큰 장바구니가 되더라구요.
종량제봉투를 매번 슈퍼나 마트 갈 때마다 살 수 없으니... 장바구니와 종량제 봉투 두가지 다 활용하는 것이 좋겠네요. ^^;
(분리수거 잘하면 종량제 봉투에 들어갈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아내가 귀찮을 뿐이죠; 다른 집 보면 대부분 귀찮다고 분리수거할 것도 종량제 봉투에 넣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요즘 장바구니는 잘 나와서 조그마한 지갑 같은데 펼치면 큰 장바구니가 되더라구요.
종량제봉투를 매번 슈퍼나 마트 갈 때마다 살 수 없으니... 장바구니와 종량제 봉투 두가지 다 활용하는 것이 좋겠네요. ^^;
(분리수거 잘하면 종량제 봉투에 들어갈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아내가 귀찮을 뿐이죠; 다른 집 보면 대부분 귀찮다고 분리수거할 것도 종량제 봉투에 넣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도아 DEL
(2008/04/21 12:05)슈퍼를 매일 가지는 않기 때문에 우리는 종량제 봉투만 사용합니다. 시장 바구니가 아주 작게 나오지만 우엉맘은 그마저도 잘 챙기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지자체 안에 있는것 같네요..
한 지자체 안에서도 쓰레기를 치워가는 용역업체별로 다른 종량제 봉투를 채용하는 곳이 종종 있는거 같아요.. 제가 사는 고양시만 해도 그렇구요... 대략 2~3개동을 하나로 묶어서 고양시 A형, B형..... 대략 4~5개 지역에 다른 종량제봉투를 사용하는 터라.. 옆 동네에서 받은 재활용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거든요.. 또 전국적으로 확산되려면 생활권이 같은 다른지자체 봉투의 사용또한 허용해야 하는 문제도 생기겠지요.. 그래서 못하고 있는걸지도 모르겠어요.
한 지자체 안에서도 쓰레기를 치워가는 용역업체별로 다른 종량제 봉투를 채용하는 곳이 종종 있는거 같아요.. 제가 사는 고양시만 해도 그렇구요... 대략 2~3개동을 하나로 묶어서 고양시 A형, B형..... 대략 4~5개 지역에 다른 종량제봉투를 사용하는 터라.. 옆 동네에서 받은 재활용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거든요.. 또 전국적으로 확산되려면 생활권이 같은 다른지자체 봉투의 사용또한 허용해야 하는 문제도 생기겠지요.. 그래서 못하고 있는걸지도 모르겠어요.
도아 DEL
(2008/04/21 15:21)글에도 있지만 그래서 전국적으로 가격을 통일 시키자고 한 것입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가격을 통일하고 있더군요. 전국적으로 통일을 시키면 봉투의 가격이 같기 때문에 어디서나 수거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에코백?을 들고 가도 대부분의 시장에서는 물건을 봉투에 담아줍니다.
그럼에도 들고 가는건 그곳에 넣어가지고 다니면 편하기 때문이죠.
비닐의 양이 줄지는 않습니다.
슈퍼같은곳에서 비닐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군요.
슈퍼 한군데의 비닐만 줄어드네요.
그리고 비닐봉지의 값은 50원이 아니라 대부분이 10원만 받고 시장은 공짜인데요.
전국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태클이 너무 많은거 같네요.
그럼에도 들고 가는건 그곳에 넣어가지고 다니면 편하기 때문이죠.
비닐의 양이 줄지는 않습니다.
슈퍼같은곳에서 비닐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군요.
슈퍼 한군데의 비닐만 줄어드네요.
그리고 비닐봉지의 값은 50원이 아니라 대부분이 10원만 받고 시장은 공짜인데요.
전국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태클이 너무 많은거 같네요.
도아 DEL
(2008/04/21 15:24)마트는 50원, 슈퍼는 20원을 받습니다. 규모가 작은 구멍가게는 10원이고, 평수를 채우지 못하는 곳에서는 그냥 주고 있습니다. 시장이야 어쩔 수 없다고 해도 나머지 곳에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면 유통되는 비닐 봉투의 대부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 전국적으로 시행한다고 해도 봉투 장사를 하는 곳(마트) 외에는 반대하는 곳은 별로 없습니다. 가게가 없는 곳은 그대로 비닐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면 되니까요.
저런 정책은 강원도 춘천에서도 시행중입니다.
그런데 웃기는 점이 춘천에 대형마트 -이마트와 GS마트-에서는 저런 종량제 봉투를 판매하지 않는다는 거죠.
사실 바라기님 말씀처럼 종량제 봉투를 시행하는 건 좋은데 가장 아쉬운 점이 지역마다 종량제 봉투가 다르다는 점인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대학생인지라 박스나 봉투에 담아서 학교에 가져가서 버립니다.ㅡ_ㅡ;;;
그런데 웃기는 점이 춘천에 대형마트 -이마트와 GS마트-에서는 저런 종량제 봉투를 판매하지 않는다는 거죠.
사실 바라기님 말씀처럼 종량제 봉투를 시행하는 건 좋은데 가장 아쉬운 점이 지역마다 종량제 봉투가 다르다는 점인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대학생인지라 박스나 봉투에 담아서 학교에 가져가서 버립니다.ㅡ_ㅡ;;;
도아 DEL
(2008/04/21 15:24)예. 그런 곳이 있다고 하더군요. 그러니 지자체에서 조금 강력하게 나가야 합니다. 그리고 지자체 문제도 문제지만 봉투 가격만 똑 같이 하면 별문제는 없습니다.
보니까 참 괜찮은 정책인데 일부에서만 운영되는게 아쉽습니다.
청와대 홈피 이런데 함 올려보면 안될려나...
뭐 안읽어줄 확률도 엄청 높겠군요. 차라리 그냥 도아님 블로그에
올린게 잘하신걸지도... 괜찮은 제도긴 한데
이 제도를 시행할 사람들이 관심이 없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제가 알기론 부산 테두리 안에선 전혀 안하고 있는 제도 같습니다..
청와대 홈피 이런데 함 올려보면 안될려나...
뭐 안읽어줄 확률도 엄청 높겠군요. 차라리 그냥 도아님 블로그에
올린게 잘하신걸지도... 괜찮은 제도긴 한데
이 제도를 시행할 사람들이 관심이 없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제가 알기론 부산 테두리 안에선 전혀 안하고 있는 제도 같습니다..
도아 DEL
(2008/04/21 16:24)예. 다른 곳에서도 적용하려고 했지만 마트의 반발로 못하고 있다는 소식도 있더군요. 제도는 좋은데 이권에 말려 적용을 못하니 안타깝더군요.
아마, 짝퉁 종량제 봉투도 파는걸로 압니다. 가격은 시가보다 1/3 수준으로 팔더군요. 보면, 비슷한 비닐봉투에 똑같이 베낀 인쇄가 찍혀 있습니다. 다만, 짝퉁이기 때문에 인쇄가 무지 대충 되어 있음에도 구청에서 알아채지 못합니다. --a 아마, 도아님 말씀대로 되면, 짝퉁 종량제 봉투 판매상이 더 활게를 칠 수도 있겠군요..
도아 DEL
(2008/04/21 18:22)짝퉁 봉투까지 파니 역시 우리 나라도 짝퉁 대국입니다. 단속을 조금 더 철저히 해야겠지만 여러 면에서 잇점이 많은 제도로 보입니다.
오 이거 정말 좋은 제도네요 하루빨리 많은 사람들에게 퍼졌으면 좋겠습니다.
도아 DEL
(2008/04/21 20:19)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시행하면 좋을 텐데 이런 좋은 제도는 남몰라라 하고 몰입 교육에만 열을 올리니... 답답하기만 합니다.
좋은 방법이군요..
하루빨리 전국에 도입되면 좋겠어요
저도 대체로 장바구니 가방을 이용하지만
외출중에 돌아올때나 까먹고 안갖고 나오는 경우가 가끔 있거든요
이런 경우에 종량제봉투가 있으면 양심에 덜 찔리겠군요.. ^^;;;
하루빨리 전국에 도입되면 좋겠어요
저도 대체로 장바구니 가방을 이용하지만
외출중에 돌아올때나 까먹고 안갖고 나오는 경우가 가끔 있거든요
이런 경우에 종량제봉투가 있으면 양심에 덜 찔리겠군요.. ^^;;;
도아 DEL
(2008/04/22 07:01)예. 정말 좋은 제도인데 왜 전국적으로 시행하지 않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더군요. 전국적으로 시행하면 소비자도 도움이 되고 비닐에의한 환경 공해도 줄일 수 있는데 말이죠.
여기 글씨체가 너무 맘에 들어요.. 그냥 그렇다구요.. ^^;;;;
도아 DEL
(2008/04/22 07:01)저도 무척 마음에 드는 글씨체입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대학원 입학직전 슈퍼아르바이트를 할때 처음 나왔던 봉투입니다.
대전의 지하 슈퍼마켓에서 일할때였는데, 당시 대전에서는 비닐봉투 무료제공을 금지하면서 대안으로 나왔던 것이지요.
그런데 아줌마들의 이야기로는 선이 그어진 부분(묶을 수 있도록 어느정도 스페이스를 두지요.)까지는 용량이 같지만, 테이프를 붙여 사용하게 되면 용량이 작아서 사랑받지 못하던 봉투였습니다. 이에 쓰레기 봉투를 사는 손님에게 신형봉투(손잡이가 달린)드리면 화내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대전의 지하 슈퍼마켓에서 일할때였는데, 당시 대전에서는 비닐봉투 무료제공을 금지하면서 대안으로 나왔던 것이지요.
그런데 아줌마들의 이야기로는 선이 그어진 부분(묶을 수 있도록 어느정도 스페이스를 두지요.)까지는 용량이 같지만, 테이프를 붙여 사용하게 되면 용량이 작아서 사랑받지 못하던 봉투였습니다. 이에 쓰레기 봉투를 사는 손님에게 신형봉투(손잡이가 달린)드리면 화내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도아 DEL
(2008/04/22 10:31)쓰레기 봉투라는 개념에서 보면 그렇습니다. 그러나 마트에서 50원짜리 일회용 봉투와 쓰레기 봉투로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용 봉투 중 고르라고 하면 어느 것을 고를까요? 쓰레기 봉투를 이봉투로 준다고 하면 저도 싫어합니다.
에코백으로 쓰레기버리면 아까울꺼 같아요
도아 DEL
(2008/04/22 16:17)쓰레기를 버리는 용도가 아니라 일회용 비닐을 대신하는 것입니다.
좋은 아이디어네요. 저희 어머니는 쇼핑하시고 물건이 조금 많다 싶으시면 초록색 쓰레기 봉투에 넣어서 안고 오시거든요. 저런 봉투가 전국적으로 채택되면 조금이나마 편해지겠네요~+
도아 DEL
(2008/04/22 17:54)예. 상당히 좋은 제도입니다. 그런데 업자의 논리에 막혀 시행되는 곳도 있고 아닌 곳도 있더군요.
좋은것 같군요..
다만, 찢어질 위험이 있는 경우엔은 마트측에서 알아서 일반 봉투에 넣어주는 센스가 필요할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다만, 찢어질 위험이 있는 경우엔은 마트측에서 알아서 일반 봉투에 넣어주는 센스가 필요할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도아 DEL
(2008/04/23 06:44)일반 봉투에 비해 조금 잘 찢어지는 편입니다. 그러나 장시간 들고다닐 것이 아니라면 큰 문제는 없더군요.
대구에서도 비슷한 제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
e-mart에서 물건을 사고 종량제 봉투를 1~2장 같이 사서, 거기에 물건을 넣어 오는 경우가 종종 있었던 기억이 있는데요?
e-mart에서 물건을 사고 종량제 봉투를 1~2장 같이 사서, 거기에 물건을 넣어 오는 경우가 종종 있었던 기억이 있는데요?
도아 DEL
(2008/04/23 06:44)예. 시행하고 있는 곳도 몇곳 있습니다. 다만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근데 비닐은 석유 연료를 이용해야 만들어 진답니다 그런점에선 천으로만든 백을 계속 쓰는게 낫지 않을까요? 아무리 친환경비닐이라 해도 비닐은 비닐이니 땅에 묻는 수밖에 없는데 .........
도아 DEL
(2008/04/29 19:19)친환경 비닐의 소재가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잘 썪는 비닐입니다. 따라서 땅에 묻는 것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 같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그런 논리라면 종량제 봉투도 헌겁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글에 있듯이 이 봉투는 종량제 봉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문제로 헌겁을 써야 한다면 종량제 봉투까지 헌겁으로 바꿔야 합니다.
그러면 가격이 무척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은 저 제도가 없는지라(수도권이 맞는지 의심스럽습니다) 마트에 가면 야채 등을 거기 자체 비닐봉지 대신 쓰레기 봉투에 담고 다시 장바구니에 담을까 생각 중입니다.
도아 DEL
(2009/04/10 16:04)대형마트의 반대로 시행을 못하는 지자체가 많다고 하더군요. 조금 어이없지만요.
에코백이 흰천으로 된 가방으로 국한시킨다면 다소 문제가 될 수 있으나 에코백은 그 이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길거리에 걸려있는 없어지지 않을 폐현수막,
유행이 지나서 입지 않는 청바지, 남방 등 쓰지 않은 어차피 매립 또는 소각될 소재를 이용한다면 재활용봉투 못지 않을텐데 문제는 다 개인이 만들어야 한다는 ^^;
작년 친환경 전시회에서는 서울시에서 폐현수막으로 장바구니를 만들어 마구 뿌리기도 했었구요,
신세계에서도 비닐을 없애본다고 에코백 공모전도 했구요..
몇몇 단체에서도 에코백 만들기 강좌도 하고 있고 나름 노력들 많이 합니다.
이런 모든 노력들이 다 환경을 위한 것이라, 전 에코백이던 종량제 봉투던 다 환영입니다. ^^
길거리에 걸려있는 없어지지 않을 폐현수막,
유행이 지나서 입지 않는 청바지, 남방 등 쓰지 않은 어차피 매립 또는 소각될 소재를 이용한다면 재활용봉투 못지 않을텐데 문제는 다 개인이 만들어야 한다는 ^^;
작년 친환경 전시회에서는 서울시에서 폐현수막으로 장바구니를 만들어 마구 뿌리기도 했었구요,
신세계에서도 비닐을 없애본다고 에코백 공모전도 했구요..
몇몇 단체에서도 에코백 만들기 강좌도 하고 있고 나름 노력들 많이 합니다.
이런 모든 노력들이 다 환경을 위한 것이라, 전 에코백이던 종량제 봉투던 다 환영입니다. ^^
도아 DEL
(2009/07/21 20:43)글에도 있지만 에코백이 필요없다는 글이 아닙니다. 또 저 역시 어느 쪽이든 쓰레기를 줄일 수 있으면 환영이고요.
내용은 그렇지 않은데, 제목이 "에코백을 들지 맙시다"는 오해를 일으킬 만하네요.
도아 DEL
(2010/12/14 11:36)그래서 본문이 있는 것이겠죠.
에코백 검색하다가 들어와서 어 저거 우리동네에도 있는 비닐봉투인데 하고 놀라고 보니 2008년 글이었군요
지금은 전국적으로 시행이되는건가요?
일산사는데 여기 마트에서도 저봉투를 주더라구요
지금은 전국적으로 시행이되는건가요?
일산사는데 여기 마트에서도 저봉투를 주더라구요
(2008/04/21 09:47)
생활과 환경에 직접적으로 좋은 영향을 미치는
제도입니다~
다른시에서 뭐 좋다하면 다따라하면서..
그런 좋은제도는 왜 참고하지 않는지 이해가가지 않는군요^^
이참에 블로그를 통해 캠페인이라도 벌리는게 좋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