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m RE DEL
(2008/03/31 20:20)
갑자기 백신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욥...
도아 DEL
(2008/03/31 23:42)
써보지 않아서 확답은 힘들지만 범용 브라우저는 아니기 때문에 백신까지 필요할까 싶더군요. 그러나 휴대폰 단말기를 대상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도 있기 때문에... 나중에는 휴대폰 전용 백신도 나오지 않을까 싶더군요.

푸른하늘 RE DEL
(2008/03/31 21:57)
오즈폰 사용기를 기대하고 있겠습니다~~ㅎㅎ
도아 DEL
(2008/03/31 23:42)
예. 사용기가 올라오면 마음에 든 것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공상플러스 RE DEL
(2008/03/31 22:11)
한달이면 거의 국내 유선인터넷 가격과 비슷하네요..
어차피 거기서 또 할인을 해주겠지만
도아 DEL
(2008/03/31 23:42)
이 부분은 뭐라 확답하기는 조금 힘듭니다. 다른 제약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백진영 RE DEL
(2008/03/31 23:59)
제가 이통사서비스를 잘몰라서 그러는데.
아는 업계관계자분이 예전에 휴대폰을 모뎀처럼 이용해서 노트북에 연결 무선통신을 하는 것을 보았는데 ,

"어이쿠 그거 데이터요금 비용은 어쩌실려고 그러세요 ?"

"아 이거 정액제라 걱정이 없어요 ^^"

라고 하더라구요 그게 어떤 이통사의 어떤 서비스인지는 모르지만 그리고 얼마인지는 모르지만. 6천원 1G 종량제서비스도 물론 나쁜건 아니지만 , 특히 전문업계에 일하면서 무선데이터 통신을 많이하시는 분들에게는 저서비스보다 이쪽이 더 괜찮지 않은가? 라고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또한 오즈의 1G 써비스가 하루동안 갱신되듯 즉 한달이면 30G 의 서비스를 이용할수있는 종량제인가요? 아니면 1G 를 한달 동안 사용하는 종량제 패킷인가요?

1G 하루면 많고 한달이면 너무 적은 어중간한 패킷인거같은데.. ;
도아 DEL
(2008/04/01 09:02)
어떤 회사를 이용하는지 모르겠지만 현재 이통3사는 모두 부분 종량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정 사용량까지는 정액, 그 뒤는 무거운 요금이 붙습니다. 따라서 말씀하신 분이 잘못 이야기 하셨거나 잘못 이해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1G는 유선으로 생각하면 얼마되지 않지만 무선으로 생각하면 상당히 큰 용량입니다. 웹 페이지를 세번 보면 2만원이 나오는 것이 무선 데이타 요금입니다. 따라서 1G는 글에도 있지만 300만원에 상당하는 데이터 요금이 됩니다.

신병길 RE DEL
(2008/04/01 09:49)
상당히 기대되는 서비스 입니다. ^^
트랙백 하나 걸어두고 갑니다.
도아 DEL
(2008/04/01 11:28)
예.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미르~* RE DEL
(2008/04/01 11:52)
저정도면 상당히 파격적인 서비스로군요~
제가 사용하는 KTF용 블랙잭은 무선인터넷 사용을 위해 1,2000원을 들여서 정액요금에 가입했는데...
이게 용량이 달랑 500M지원입니다...
하긴.. 구글 모바일 리더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모바일 전용페이지 위주로 돌아다녀서...
한달 사용량이 100MB를 넘기기 힘들긴 합니다만... 아쉽죠~

KTF도 보고 배워서... 다양한 요금제를 내놔주면 좋을텐데 말이죠~
제 개인적인 바램은 5000원 정도 요금에 200MB 정액제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

PS. 아무리 캔유가 좋다고 하셔도.... 블랙잭은 무선랜이 됩니다... 블랙잭 만세... -_-/
도아 DEL
(2008/04/01 12:01)
예. 상당히 파격적입니다. 특히 하루 1000원 무제한은 아주 인상적이더군요. 그리고 블랙잭은 써 보지는 않았지만 좋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더군요.

제씨 RE DEL
(2008/04/01 13:06)
"1000원의 무제한 하루 정액제"
아무 조건이 없고, 다른 폰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다면

이것 정말 대박 느낌이 듭니다.
도아 DEL
(2008/04/02 05:11)
예... 1000원 요금제는 저도 마음에 들더군요.

luckyme RE DEL
(2008/04/01 15:51)
저도 정말 기대 많이 하고 있는데요, 꼭 사용기 올려주시구요~
무엇보다도 active X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울 나라 환경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결제 등도 구현이 될 것인가 하는 것이 최대 관심사네요.
도아 DEL
(2008/04/02 05:11)
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삭제한 글 RE DEL
(2008/04/03 21:15)
작성자가 삭제한 글입니다.
도아 DEL
(2008/04/03 21:15)
400만원이면 LGT 오즈에서는 6000원만 내면됩니다. 오즈의 6000원 1G짜리의 요금이 바로 300만원입니다. SKT가 LGT보다 조금 비싸니 400만원이면 6000원 수준입니다. [url=http://offree.net/entry/LGT-Oz-Magic]여기[/url]을 읽어 보면 알 수 있지만 국내 통신사의 정액제는 모두 부분 정액제입니다. 정액제 범위에 들면 비용이 얼마 되지 않지만 그 범위를 벗어나면 아무리 할인율이 높아도 수백만원이 나옵니다.

Snooey RE DEL
(2008/04/14 21:18)
일정액제는 LG가 최초라고 하기 힘들지 않을까요... 오즈 도입 이전에도 Show에 일당 2000원의 정액제가 있긴 했었으니까...
도아 DEL
(2008/04/14 21:19)
누가 최초라고 했는지요? 파격적이라고 표현한 것 같습니다만.

77 RE DEL
(2008/04/25 07:16)
안녕하세요 기업인은 피노 눈물도 없는 소인배들이라서 어디선가 돈으 빼쳐먹을라고 머리를 쓰겠죠??
거기에 안넘어가야 피해를 안봅니다... 머리싸움에서 지지 마라.... 머리싸움에서 지면, 있던 돈 다뺏긴다.
도아 DEL
(2008/04/25 08:28)
우리나라 기업인(정확히는 장사치)들이 그런면이 많죠. 저 역시 주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반말로 단 다른 댓글은 삭제했습니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