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유선인터넷 인프라에서는 최강이라고 할 수 있어도...
무선인터넷에서는 최약자라고 할 수 있는게 이런 점이죠...
무선인터넷 요금이 터무니 없이 비싼데다가...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같이 무선인터넷 요금에 해가될만한 기능은 이통사에서 제조사에 제한을 합니다.
블루투스, 무선랜을 빼지 않으면 출시할 수 없다... 라고 으름장을 놓으면...
그 잘난 삼성도 어쩔 수가 없거든요... -_-;;
무선인터넷 요금 자체가.. 자유로운 사용보다.. SPAM 이벤트로 무선접속을 유도해서...
무선인터넷 사용해서 사용료를 낚는(?) 방식이다 보니...
사람들은 무선인터넷을 더 사용안하게 되고... 사용안하다 보니 서비스 개발도 안되고...
LGT의 강점이 제조사이자 통신사라고 할 수 있는 점인데~
이런 장점을 살려서.. 반란(?)을 일으켜 준다면.. 소비자로서야 감사감사죠~ :)
무선인터넷에서는 최약자라고 할 수 있는게 이런 점이죠...
무선인터넷 요금이 터무니 없이 비싼데다가...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같이 무선인터넷 요금에 해가될만한 기능은 이통사에서 제조사에 제한을 합니다.
블루투스, 무선랜을 빼지 않으면 출시할 수 없다... 라고 으름장을 놓으면...
그 잘난 삼성도 어쩔 수가 없거든요... -_-;;
무선인터넷 요금 자체가.. 자유로운 사용보다.. SPAM 이벤트로 무선접속을 유도해서...
무선인터넷 사용해서 사용료를 낚는(?) 방식이다 보니...
사람들은 무선인터넷을 더 사용안하게 되고... 사용안하다 보니 서비스 개발도 안되고...
LGT의 강점이 제조사이자 통신사라고 할 수 있는 점인데~
이런 장점을 살려서.. 반란(?)을 일으켜 준다면.. 소비자로서야 감사감사죠~ :)
도아 DEL
(2008/03/31 16:58)예. 우리나라 스마트폰 시장은 너무 죽어 있습니다. 통신사가 정신만 차리면 좋을 것 같더군요. 스마트폰을 키워도 먹고 살방법은 충분한데 왜 저러는지 모르겠더군요.
무선 이동 통신 시장 개방 해야 합니다. --;
저도 Palm Treo 시리즈 쓰고 싶어요 >.<
저도 Palm Treo 시리즈 쓰고 싶어요 >.<
도아 DEL
(2008/03/31 16:58)예. 개방하면 정말 좋죠. 3사에 전국민이 목맨다는 것이...
작성자가 삭제한 글입니다.
도아 DEL
(2008/03/31 16:59)예. 이 가격이면 지원되야 하죠. 조만간 출시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8/03/31 22:01)예. 글에 있는 내용도 같은 내용입니다. 아이폰에 견줄 상대가 아니라는 내용. 그리고 M4650를 언급한 것은 오즈와 연결 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b]우리나라 이동통신 3사가 스마트폰 시장을 죽여온 예로 든 것[/b]입니다.
pda 폰에디션, 스마트폰... 이제는 경계가 허물어져 구분할 수 없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스마트폰의 큰 장점 중 하나인 무선네트워크 환경에 대해서는 항상 재갈이 물려있어 아쉽습니다. 모 사이트에서 제가 사용하는 m4650분해한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 무선랜 모듈이 들어갈 자리는 충분한 것 같았는데... 아니 들어갈 자리가 없다하더라도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는 능력은 될 것 같은데...
제가 워낙 pda를 좋아해서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있지만, 도아님 말씀처럼 LG 등에서 꼴지의 반란을 보고싶습니다. 제발...
우리나라의 경우 스마트폰의 큰 장점 중 하나인 무선네트워크 환경에 대해서는 항상 재갈이 물려있어 아쉽습니다. 모 사이트에서 제가 사용하는 m4650분해한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 무선랜 모듈이 들어갈 자리는 충분한 것 같았는데... 아니 들어갈 자리가 없다하더라도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는 능력은 될 것 같은데...
제가 워낙 pda를 좋아해서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있지만, 도아님 말씀처럼 LG 등에서 꼴지의 반란을 보고싶습니다. 제발...
도아 DEL
(2008/03/31 17:02)고의적으로 죽여온 것입니다. 자사의 무선포털과 데이터 통신요금 때문이죠.
꼴찌로서는 모험이죠. 개방해놓고나서 그걸로 호응을 얻어 인기를 얻으면 좋은데, 다른 선두업체들이 나도나도 하고 비슷하게 열어버리면 자기네들은 새 서비스를 홍보만 하고, 투자된거 회수도 못하고 주저앉아버리게 되니까요.
개인적으로는 무척 바라는 일이지만, 다른 업체도 아닌 LGT에 기대하는건 좀 무리라고 봅니다.
우리나라가 진정한 IT선진국이 되길.
개인적으로는 무척 바라는 일이지만, 다른 업체도 아닌 LGT에 기대하는건 좀 무리라고 봅니다.
우리나라가 진정한 IT선진국이 되길.
도아 DEL
(2008/03/31 17:02)제조사와 통신사를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유리합니다. 그러나 역시 LGT는 믿음이 가지 않죠.
미르님 말씀처럼 통신사와 제조사가 같은 회사들은 이러한 모험도 가능하리라고 보는데... LGT분들은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을까요?
꼴찌니까 모험 한번 해볼만 하지 않은가요?
꼴찌니까 모험 한번 해볼만 하지 않은가요?
도아 DEL
(2008/03/31 17:03)예. 꼴찌니 모험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LG가 유일하게.. 맘대로 할 수 있으니까..
남은 두 회사도 정신을 차리거라!
(P.S 전문자료에 의하면 LG가 모바일 프로그래밍을 처음 도입했다고 하는데.. 점유율이 낮으니..-..-)
남은 두 회사도 정신을 차리거라!
(P.S 전문자료에 의하면 LG가 모바일 프로그래밍을 처음 도입했다고 하는데.. 점유율이 낮으니..-..-)
도아 DEL
(2008/03/31 17:04)예. 마음만 바꾸면 가능한데 LG라는 회사가 무척 경직된 회사더군요.
우리나라 이통사들 정말 못됐죠. 그런데, LGT는 꼴찌이면서 그걸 타개할 방법을 생각해 내야하는데... 1위 2위가 하는 걸 그대로 따라하려고 한다는 게 더 갑갑합니다. 왜 우리나라에서 무선인터넷이 왜 활성화되지 않는지 다 알고 있을텐데 말입니다.
미국에서는 Sprint-Nextel 이 꼴찌인데... 그네들은 MVNO 막 개방하고, Wibro(미국에서는 WiMAX)를 처음으로 시도하는 등, 꼴찌를 탈출하기 위해 무선망개방에 아주 적극적인데 말입니다.
LGT라도 무선망 개방해서 사용자들 확 끌어 당기면 1위 2위도 마지못해 적극적으로 개방하는 시기가 당겨질 것 같은데 말입니다.
혹시 뭔가 세 회사간에 모종의 담합이 있는 게 아닌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사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미국에서는 Sprint-Nextel 이 꼴찌인데... 그네들은 MVNO 막 개방하고, Wibro(미국에서는 WiMAX)를 처음으로 시도하는 등, 꼴찌를 탈출하기 위해 무선망개방에 아주 적극적인데 말입니다.
LGT라도 무선망 개방해서 사용자들 확 끌어 당기면 1위 2위도 마지못해 적극적으로 개방하는 시기가 당겨질 것 같은데 말입니다.
혹시 뭔가 세 회사간에 모종의 담합이 있는 게 아닌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사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도아 DEL
(2008/03/31 23:28)예. 정통부도 그런점 때문에 비대칭 규제를 한 것인데 LGT에서는 오히려 SKT나 KTF를 따라 오히려 가격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결국 사용자가 이탈하지 가격을 내렸지만 이미 늦은 상태였습니다.
기본적으로 국내 기업 중 사용자와 서로 이기는 게임을 하는 기업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만약, 국내 휴대폰중..
무선랜 구간에서는 무선랜.. 그 외의 지역에서는 휴대폰망을 이용할수 있고.
정액제 가격이 조금 비싸도 잘만 터지가 기능 좋다면..
어떤 휴대폰, 어떤 통신사라 하더라도 넘어갈 의향이 있는데 말이죠..
... 꿈 깨야할것 같습니다..//
실제로 무선랜이 잡히는 곳에서 노트북을 사용하면 다양한 일을 할수 있더군요..
스마트폰이 나온다면 좋겠지만..
그 전가지는 노트북 이고다니며 사용해야할것 같습니다..
..의외로 12인치 노트북이 무거워요..2Kg..ㅡㅠ;
무선랜 구간에서는 무선랜.. 그 외의 지역에서는 휴대폰망을 이용할수 있고.
정액제 가격이 조금 비싸도 잘만 터지가 기능 좋다면..
어떤 휴대폰, 어떤 통신사라 하더라도 넘어갈 의향이 있는데 말이죠..
... 꿈 깨야할것 같습니다..//
실제로 무선랜이 잡히는 곳에서 노트북을 사용하면 다양한 일을 할수 있더군요..
스마트폰이 나온다면 좋겠지만..
그 전가지는 노트북 이고다니며 사용해야할것 같습니다..
..의외로 12인치 노트북이 무거워요..2Kg..ㅡㅠ;
도아 DEL
(2008/03/31 23:30)크게 어려운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같은 예는 아니지만 아이팝 데이드림을 쓸 때의 일입니다. 시간을 검사해서 정액 시간이면 정액, 정액 시간이 아니면 패킷으로 프로그램이 동작하면되는데 정액 시간에도 패킷으로 동작한 덕에 수만 패킷을 날렸습니다.
날린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해도 개선을 요구했습니다.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하더군요. 저도 프로그램을 짜 봐서 알지만 조건문 하나면 됩니다. 그런데 이 불가능한 기술을 Clubfos라는 업체에서 아무 것도 아닌 것처럼 구현을 했더군요. 고객을 돈으로 알면, 고객은 업체를 똥으로 아는데,,, 그 걸 모르더군요.
전 왜 휴대폰 제조사가 이통사 비위만 맞춰주는 지 모르겠습니다. 팬텍이나 이런데는 뭐 그거 없으면 못 판다지만, 삼성이나 LG입장에선 해외랑 라인업 조차 틀려져버리니 생산라인도 여러개여야하고..기회비용 낭비가 아닐까 싶은데...꼭 질질 끌려다니네요..그냥 우리도 외국에서 파는 거 한국에서도 팔래! 우리맘이야! 라고 강하게 자기 주장 좀 해줬으면 좋겠네요..ㅠ.ㅠ
도아 DEL
(2008/03/31 23:31)펜텍은 국내 2위의 업체입니다. 해외 시장 점유율도 높고요. 사실 삼성, LG, 펜텍에서 합치면 못할 것도 없습니다. 자본의 논리도 아니고 업체끼리 서로 잘 살자는 논리인 것 같습니다. 물론 고객만 죽어나죠. 그래서 우리나라 소비자는 조금 더 똑 똑해질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With. DEL
(2008/04/01 01:58)팬택이 국내 2위가 아니죠. LG전자 맞습니다.
http://newslink.media.daum.net/news/20080303144105390
도아 DEL
(2008/04/01 09:06)With.//예. 다시 LG가 2위로 올라섰군요. 펜텍에서 스카이를 인수하고 바로 2위로 올라섰었습니다. 그 뒤 펜텍은 부도 및 구조 조정을 하느라 다시 LG가 2위가 된 모양이군요.
m4650을 잘 쓰고 있는데, 항상 무선랜이 아쉽더군요.
보다 싼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면 좀 더 많은 곳에 응용할 수 있을텐데 말이조.
보다 싼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면 좀 더 많은 곳에 응용할 수 있을텐데 말이조.
도아 DEL
(2008/03/31 23:32)예. 국내 이통사는 스마트폰 시장을 계속 죽여 왔습니다. 속셈은 너무 뻔하지만요. 그러나 곧 후회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m4650을 쓰고 있지만, 그 부분은 아쉽지요.
그리고 작은 실수이지만, 계속 되니 눈에 들어오는데요.
sch-m4650이 아니라, sph-m4650입니다.
그리고 작은 실수이지만, 계속 되니 눈에 들어오는데요.
sch-m4650이 아니라, sph-m4650입니다.
도아 DEL
(2008/03/31 23:33)제가 사용한 폰이 아닙니다. 제보를 받고 확인하지 않고 올려서 그런 것 같습니다. 지금은 모두 수정해 두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글 맥락하고는 전혀 상관이 없는 이야기인데요..주석급으로
원래 스마트폰은 MS에서 만든 운영체제 이름입니다.
아시겠지만, 윈CE를 코어로 해서 전화기용에 적합하게 만든 애라서 아예 이름을 스마트폰이라 했죠. 그러나 곧 윈CE자체가 MS에서 버전관리를 제대로 못했다는 자책을 할 정도로..
중구난방으로 번져서 윈CE,윈CE폰에디션,스마트폰,포켓피씨(후에 윈도우즈모바일로개명),포켓피씨 폰에디션등으로 분화되는 와중에
스마트폰이 담긴 전화기만 스마트폰이라고 하게 된게 아니라, 비스무리한 애는 그냥 다 스마트폰이라고 부르게 되었죠. 가끔 미국 엔지니어 애들이랑 대화할때 오류가 생기곤 했습니다.
현재는 뭐 스마트폰이라는 운영체제가 없어졌으니 상관없지만요.
원래 스마트폰은 MS에서 만든 운영체제 이름입니다.
아시겠지만, 윈CE를 코어로 해서 전화기용에 적합하게 만든 애라서 아예 이름을 스마트폰이라 했죠. 그러나 곧 윈CE자체가 MS에서 버전관리를 제대로 못했다는 자책을 할 정도로..
중구난방으로 번져서 윈CE,윈CE폰에디션,스마트폰,포켓피씨(후에 윈도우즈모바일로개명),포켓피씨 폰에디션등으로 분화되는 와중에
스마트폰이 담긴 전화기만 스마트폰이라고 하게 된게 아니라, 비스무리한 애는 그냥 다 스마트폰이라고 부르게 되었죠. 가끔 미국 엔지니어 애들이랑 대화할때 오류가 생기곤 했습니다.
현재는 뭐 스마트폰이라는 운영체제가 없어졌으니 상관없지만요.
도아 DEL
(2008/04/01 09:00)스마트폰 윈도우를 이야기 하시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스마트폰이라는 이름 자체가 운영체제의 이름은 아닙니다. 스마트폰이 나오고 그 스마트폰에 사용될 윈도우를 만든 것이니까요.
아니라면 관련 링크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이쪽분야에는 쫌 약해서 질문하나 올립니다.
제가 요세 풀 브라우징에 빠져 LH2300을 사려고합니다
그런데 계속읽어보니 무선랜?
없고 해서 여튼 안좋다는데 구체적으로 뭐가 문제가 되는지
또
폰이 무선랜모듈없이 출시판매되고
나중에나마 혹시나 무선랜이 생긴다하면
이전에 무선랜모듈없는폰은 어찌되는지요??
그냥 없는대로 써야하는걸까요 ??
제가 요세 풀 브라우징에 빠져 LH2300을 사려고합니다
그런데 계속읽어보니 무선랜?
없고 해서 여튼 안좋다는데 구체적으로 뭐가 문제가 되는지
또
폰이 무선랜모듈없이 출시판매되고
나중에나마 혹시나 무선랜이 생긴다하면
이전에 무선랜모듈없는폰은 어찌되는지요??
그냥 없는대로 써야하는걸까요 ??
도아 DEL
(2008/04/02 05:16)글을 잘못 읽으신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이 아니기 때문에 무선랜이 없어도 됩니다. 위의 글은 스마트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님...저글을 아무리 읽어봐도 제목의 의도를 모르겠네요..
pre-empts Korean iPhone의 문장은, 한국의 아이폰이 되다...가 아니라
한국의 아이폰의 미리 막다....정도입니다. 한국에 아이폰이 들어올 예정도
없는데 뭘 막겠다는건지 모르겠네요(pre-empt의 의미가 의심스러우시면
영영 사전으로 찾아보세요). 기사의 의도는 한국의 아이폰이 될려고 한다..
라는 거라해도 실제 기사의 제목은 그것과 다릅니다. 의도야 어쨌던 제목엔
분명 막는다는 뜻입니다.
난 왜 이런 이상한걸 신경쓰는지 원...-_-;;
pre-empts Korean iPhone의 문장은, 한국의 아이폰이 되다...가 아니라
한국의 아이폰의 미리 막다....정도입니다. 한국에 아이폰이 들어올 예정도
없는데 뭘 막겠다는건지 모르겠네요(pre-empt의 의미가 의심스러우시면
영영 사전으로 찾아보세요). 기사의 의도는 한국의 아이폰이 될려고 한다..
라는 거라해도 실제 기사의 제목은 그것과 다릅니다. 의도야 어쨌던 제목엔
분명 막는다는 뜻입니다.
난 왜 이런 이상한걸 신경쓰는지 원...-_-;;
도아 DEL
(2008/04/03 17:41)예... 저는 Korean iPhone이라는 표현 때문에 이 글을 쓴 것입니다. 서로 격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의 대상이 아닙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8/04/04 08:55)당연한 얘기입니다. 여기서는 아이폰과의 비교가 아니라 스마트폰과의 비교 중 WiFi만 언급한 것입니다.
위에위에 댓글에 대한 답변이 맞는 것 같네요.
도아님께서는 좀 착각을 하신 듯 해서요... 비교대상이 아니라는 것이죠..
스마트폰이 아니기에..
스마트폰 시장이 죽어있는 것은 이통 3사의 담합이 아니고 CDMA,WCDMA가 너무 발전을 했기 때문이면서 KT나 기타 ISP업체들의 게으름(?)이거나 소극적 투자가 한몫하지 않을까 합니다.
미국의 예를 또 많이 드셨는데.. 미국과 같은 곳에선 한국과 같이 훌륭한 WCDMA망이나 Rev.A 망이 없기에 이동성이 없는 무선환경을 이용해야 하니 어쩔 수 없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KT네스팟 아이디를 월정액 15000원정도 하는것 같던데... LGT의 6,000원이라는 파격적 요금으로 어디든 이동하면서 브라우징을 한다는 것 자체를 높이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하네요.
각자의 성격이 다르니 이런식의 비방적인 비교는 자기나라 비하발언이란 생각만 듭니다.
미국에 있는 사람들은 우리나라의 무선환경을 무지 부러워 한다고 하더군요.
실례가 되었다면 사과드립니다.
도아님께서는 좀 착각을 하신 듯 해서요... 비교대상이 아니라는 것이죠..
스마트폰이 아니기에..
스마트폰 시장이 죽어있는 것은 이통 3사의 담합이 아니고 CDMA,WCDMA가 너무 발전을 했기 때문이면서 KT나 기타 ISP업체들의 게으름(?)이거나 소극적 투자가 한몫하지 않을까 합니다.
미국의 예를 또 많이 드셨는데.. 미국과 같은 곳에선 한국과 같이 훌륭한 WCDMA망이나 Rev.A 망이 없기에 이동성이 없는 무선환경을 이용해야 하니 어쩔 수 없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KT네스팟 아이디를 월정액 15000원정도 하는것 같던데... LGT의 6,000원이라는 파격적 요금으로 어디든 이동하면서 브라우징을 한다는 것 자체를 높이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하네요.
각자의 성격이 다르니 이런식의 비방적인 비교는 자기나라 비하발언이란 생각만 듭니다.
미국에 있는 사람들은 우리나라의 무선환경을 무지 부러워 한다고 하더군요.
실례가 되었다면 사과드립니다.
도아 DEL
(2008/04/06 10:12)[quote]도아님께서는 좀 착각을 하신 듯 해서요... 비교대상이 아니라는 것이죠..[/quote]
글쎄요. 제가 착각을 했다기 보다는 글을 읽지 않고 답글을 쓰신 것 같군요.
[quote]스마트폰이 아니기에..[/quote]
"[b]스마트폰으로 출시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문제 삼고 싶지는 않다.[/b]"라고 본문에 적어 두었기 때문에...
[quote]스마트폰 시장이 죽어있는 것은 이통 3사의 담합이 아니고 CDMA,WCDMA가 너무 발전을 했기 때문이면서 KT나 기타 ISP업체들의 게으름(?)이거나 소극적 투자가 한몫하지 않을까 합니다.[/quote]
삼사의 담합이라고 한 부분은 없습니다. 또 제조사 스펙에는 포함된 WiFi가 출시할 때는 사라졌기 때문에 [b]소극적 투자가 원인[/b]이 아니라 [b]적극적 죽이기가 원인[/b]입니다.
그리고 WCDMA를 이용해서 무선 데이타 통신을 해 보신적이 있으신지요? 아울러 WiFi를 이용해서는요. 두 시장은 서로 보완할 시장이지 경쟁할 시장은 아닙니다. 따라서 어느 한쪽이 너무 발전해서 다른 시장이 죽을 이유는 없습니다.
[quote]미국의 예를 또 많이 드셨는데.. 미국과 같은 곳에선 한국과 같이 훌륭한 WCDMA망이나 Rev.A 망이 없기에 이동성이 없는 무선환경을 이용해야 하니 어쩔 수 없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quote]
WCDMA망은 있습니다. 다만 우리 나라가 좁기 때문에 우리는 통화 불가능 지억이 거의 없습니다.
[quote]KT네스팟 아이디를 월정액 15000원정도 하는것 같던데... LGT의 6,000원이라는 파격적 요금으로 어디든 이동하면서 브라우징을 한다는 것 자체를 높이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하네요.[/quote]
이미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글을 쓸 수 있는 이유는 글을 읽지 않고 답글을 달기 때문입니다. 이 글은 오즈에 대한 비판 글이 아닙니다.
[quote]각자의 성격이 다르니 이런식의 비방적인 비교는 자기나라 비하발언이란 생각만 듭니다.[/quote]
글을 읽지 않고 무조건 비방적인 글을 올리는 것은 자신의 무지를 드러내는 것 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quote]미국에 있는 사람들은 우리나라의 무선환경을 무지 부러워 한다고 하더군요.[/quote]
그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것은 잘터지는 무선 환경이지 영화 한편 보는데 수백만원씩 나오는 데이터 요금이 아닙니다. 또 우리 나라 사람들은 미국의 스마트폰 시장을 동경하고 있습니다.
[quote]실례가 되었다면 사과드립니다. [/quote]
저 역시 실례가 되었다면 사과드립니다.
글쎄효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제목은 한국의 아이폰 LH2300? 인데, 내용은 이통사와 PDA폰 얘기만 나오니 무슨 말씀을 하시려는건지 감이 잘 안 오네요.단순히 한국 이통사를 비판하시려고 했다면 모르겠지만...
LH2300이 한국의 아이폰이라고 한 기사의 이유를 '시장의 틀을 깨려는 시도'에서 찾는다면 솔직히 조금 납득할 수 있습니다. 800x480 해상도의 핸드폰 기기로 월6000원으로 Rev.A로 무제한 쓰는 것은 여태까지 있어왔던 다른 디바이스들의 무선 통신보다 월등히 매력적입니다. 심지어 웹에서 플래시8 플레이어로 FLV도 재생됩니다.
미국도 그 시장에서의 틀을 깬 것이고, 우리 나라도 우리 나라의 시장에서 틀을 깬다면, LH2300 과 OZ의 만남은 확실히 큰 도전으로 느껴집니다.
그러나 물론, LH2300의 실물은 상당히 실망스럽습니다. 참신함은 바라지도 않지만, U.I가 너무 불편하고, 주특징인 인터넷도 너무 느리기 때문에 전혀 쓰고 싶지 않죠. Rev.A속도가 느린게 아니라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기어다닙니다. 아쉬운 일이지요. 만 하루 째 사용중이거든요.
LH2300이 한국의 아이폰이라고 한 기사의 이유를 '시장의 틀을 깨려는 시도'에서 찾는다면 솔직히 조금 납득할 수 있습니다. 800x480 해상도의 핸드폰 기기로 월6000원으로 Rev.A로 무제한 쓰는 것은 여태까지 있어왔던 다른 디바이스들의 무선 통신보다 월등히 매력적입니다. 심지어 웹에서 플래시8 플레이어로 FLV도 재생됩니다.
미국도 그 시장에서의 틀을 깬 것이고, 우리 나라도 우리 나라의 시장에서 틀을 깬다면, LH2300 과 OZ의 만남은 확실히 큰 도전으로 느껴집니다.
그러나 물론, LH2300의 실물은 상당히 실망스럽습니다. 참신함은 바라지도 않지만, U.I가 너무 불편하고, 주특징인 인터넷도 너무 느리기 때문에 전혀 쓰고 싶지 않죠. Rev.A속도가 느린게 아니라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기어다닙니다. 아쉬운 일이지요. 만 하루 째 사용중이거든요.
도아 DEL
(2008/04/06 10:10)윗글에 동의하시니 윗글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 제가 미국에서 AT&T로 개통된 아이폰을 쓰고있는 유저입니다. 저는 조금 느리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전화가 터진다면 Youtube, Google Map, Safari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그것보다 큰 문제가 있죠. 모든 웹사이트에 플래쉬와 Active X 의 도배에관한 문제입니다. 아무리 Windows Mobile이라고 하더라도, 그것때문에 속도가 느려지는것은 배제할수 없는데다가, 사용못하는 것들도 꽤 있을겁니다.일단 웹 표준을 지킨뒤에, 그다음에 통신사의 Wi-fi등에 대한 문제가 개선되야 한국에서의 제대로된 스마트폰 서비스를 받을수 있을듯 합니다. 그리고, 한국이 개선해야 할점은, 한국사이트가 스마트폰을 위한 서비스를 따로 개설해야 한다는점이죠. 미국에서 아이폰이 더 잘팔리는이유에는 소프트웨어와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 네임밸류도 있지만, iPhone을 위한 Web Application에도 강세가 큽니다. Bank of America, Google, Facebook, Yellowpages등 미국의 큰 기업과 사이트들이 iPhone을 위한 페이지를 새로 만들어서 서비스를 하며, 그것때문에 로딩이 조금은 더 빨라지고, iPhone의 강점을 더 잘 살려주는거죠. 기업들이 돈을 그만 쫒아다니고, 사용자들이 빨리, 편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주고, 세계 웹표준을 지켜야만 스마트폰의 시장이 가치있어 질것같군요.
도아 DEL
(2008/04/09 07:47)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ActiveX의 문제는 저도 집고 넘어갈 생각입니다. 터무니없이 ActiveX로 도배를 한덕에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가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사용자의 선택이기도 합니다. 즉, ActiveX가 도배가된 사이트는 방문하지 않으면 됩니다. 그러나 Wi-Fi가 없는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이런 선택권마저 빼았는 조치입니다.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고 봅니다.
SKT나 KTF같은 기업은 노태우 정권때 로비를 통해 따낸 통신사업입니다. 노력이 없으니 경쟁력까지 바랄것도 없고...
지금 버티는 것도 결국은 어쩔수 없어서 두손 들기 전까지만이라도 최대한 뽑아보려는 속셈이 아닐까요?
언제일지 모르지만 국내 이통망 개방되고 가입비, 기본료 없는 외국의 저렴이 이통사 오면 그때가서 경쟁을 해야겠지만 당장 지금은 굳이 그럴필요 없으니 끝까지 버텨보는거죠.
그때 가서 경쟁되면 그제서야 싼 요금제랑 개방정책 내놓고 광고만 잘 때리면 어차피 쓰는 사람은 쓰게 됩니다.
그게 한국의 시장입니다. 기업의 도덕성을 따져 군중단위로 불매정책을 해도 잘 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지금 굳이 손해볼 필요가 있나요.
전 국민이 알고 몇년간 이런 목소리가 인터넷에 돌고돌고 있는 마당에 그들이 그걸 모른다는건 말이 안되죠.
단지 그냥 버티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끝까지... 단 한푼이라도 더 뜯어낼 수 있을때까지...
지금 버티는 것도 결국은 어쩔수 없어서 두손 들기 전까지만이라도 최대한 뽑아보려는 속셈이 아닐까요?
언제일지 모르지만 국내 이통망 개방되고 가입비, 기본료 없는 외국의 저렴이 이통사 오면 그때가서 경쟁을 해야겠지만 당장 지금은 굳이 그럴필요 없으니 끝까지 버텨보는거죠.
그때 가서 경쟁되면 그제서야 싼 요금제랑 개방정책 내놓고 광고만 잘 때리면 어차피 쓰는 사람은 쓰게 됩니다.
그게 한국의 시장입니다. 기업의 도덕성을 따져 군중단위로 불매정책을 해도 잘 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지금 굳이 손해볼 필요가 있나요.
전 국민이 알고 몇년간 이런 목소리가 인터넷에 돌고돌고 있는 마당에 그들이 그걸 모른다는건 말이 안되죠.
단지 그냥 버티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끝까지... 단 한푼이라도 더 뜯어낼 수 있을때까지...
Anonymous DEL
(2009/05/16 02:16)그래도 선택할 게 없잖습니까.
우리나라 통신사야 세 개 밖에 없는데 어쩌겠습니까.
도아 DEL
(2009/05/16 10:16)예. 우리나라 재벌은 돈만 목적으로 하고 있으니까요. 댓글이 조금 늦었습니다.
(2008/03/31 12:11)
아무래도 더 기다려야 하는 모양이로군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