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워드프레스를 사용할때는 윈도 라이브 라이터를 많이 사용했어요. 여러가지로 편해서.
그런데 티스토리의 경우는 WLW로 하게되면 <p><br>이 너무 헷갈려서.. -.-;
그런데 티스토리의 경우는 WLW로 하게되면 <p><br>이 너무 헷갈려서.. -.-;
도아 DEL
(2007/12/14 15:37)티스토리나 텍스트큐브의 위지윅 편집기의 문제입니다. 태그를 혼용하고 BR을 남용하고,,,
저 같은 경우에도 학주니님과 유사하게 줄간 간격 때문에 WLW 사용이 꺼려지더군요...
WLW로 쓴 것과 텍스트큐브에서 직접 작성한 것과 줄 간격의 차이가 나기도 하고,
WLW로 쓰면, 발행까지 자동으로 안되었던 것으로 기억되거든요...
어짜피 한 번은 텍스트큐브 로그인해서 발행까지 해야되었던 기억... -_-;;
WLW로 쓴 것과 텍스트큐브에서 직접 작성한 것과 줄 간격의 차이가 나기도 하고,
WLW로 쓰면, 발행까지 자동으로 안되었던 것으로 기억되거든요...
어짜피 한 번은 텍스트큐브 로그인해서 발행까지 해야되었던 기억... -_-;;
도아 DEL
(2007/12/14 15:38)한번 로그인을 해도 작업은 WLW가 더 편합니다. 특히 티스토리나 텍시트큐브는 잘못된 태그가 너무 많이 삽입됩니다.
음..줄바꾸기는 WLW쪽이 맞는 설정입니다.
엔터는 P고 쉬프트엔터는 BR로 먹으니까, 문단구분이냐 새줄이냐의 구분히 확실히 되죠. 테터시리즈는 편집기에서 전부 BR만 먹어서 태그에 의한 문단구분이 정확하지 않다고 봅니다.
P와 BR간의 줄간격 표현이 마음에 안들면 태그 탓할게 아니라 CSS에서 수정해야 맞죠.
WLW에 이미지를 삽입하면 아주 가끔 PNG로 컨버팅되서(즉 용량이 늘어서) 업로드 되는 경우가 있더군요. 티스토리의 경우는 상관없지만, 독립블로그의 경우는 트래픽에 민감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엔터는 P고 쉬프트엔터는 BR로 먹으니까, 문단구분이냐 새줄이냐의 구분히 확실히 되죠. 테터시리즈는 편집기에서 전부 BR만 먹어서 태그에 의한 문단구분이 정확하지 않다고 봅니다.
P와 BR간의 줄간격 표현이 마음에 안들면 태그 탓할게 아니라 CSS에서 수정해야 맞죠.
WLW에 이미지를 삽입하면 아주 가끔 PNG로 컨버팅되서(즉 용량이 늘어서) 업로드 되는 경우가 있더군요. 티스토리의 경우는 상관없지만, 독립블로그의 경우는 트래픽에 민감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도아 DEL
(2007/12/14 15:40)저도 WLW가 맞다고 봅니다. 다만 <P> 태그 삽입시 개행 문자도 함께 넣어주는 것이 좋은데 개행문자는 넣지 않더군요. 구글 Docs는 <DIV>로 처리하고...
또 WLW는 이미지 업시 두개의 이미지를 업합니다. 썸네일과 원래 이미지. 이덕에 오히려 더 복잡하고 HTML 편집하기 힘들더군요. 제 경우 삽입해야 하는 이미지가 많으면 flickr.com을 이용합니다. J.Parker님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편하게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로거뉴스에서 폭탄을 맞는 경우 종종 사용합니다.
Draco DEL
(2007/12/14 15:47)이미지를 두개 업로드하는 것은 이미지 올리고 썸네일을 사용하지 않게 한다음 그 설정을 디폴트로 설정해놓으면 그 이후부터는 해결되더군요. 플릭커는 저도 활용을 고민중입니다.
도아 DEL
(2007/12/14 16:41)제 글에도 있지만 저는 WLW를 계속 사용할 생각은 없습니다. 티스토리나 텍스트큐브의 위지윅 편집기를 사용하는 사람을 위해 쓴 글인데 써보고 난 결론은 [b]마음에 드는 위지윅 편집기는 없다[/b]입니다.
조금 번거롭기는 해도 역시 EditPlus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더군요. flickr.com은 블로거뉴스에 오른 글만 올리니 큰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물론 블로그에 접속할 수 없을 때 뜨면 바로 트래픽 초과가 되지 만요...
저도 html로 글을 작성을 해 볼려고 했는데 쉽게 적응이 안되더군요. 아무리도 위지윅방식에 익숙해져서 그런지 어렵더라구요.
태터에서 위지윅방식으로 글을 쓰다가 보면 이상하게 태그가 엉키는 경우가 종종생기는데 그 때만 html모드로 들어가서 중복된 태그를 지우고 그럽니다.
이 방법도 한번 해 봐야겠네요.
저도 html로 작성하고 싶어요 ㅠ_ㅠ
태터에서 위지윅방식으로 글을 쓰다가 보면 이상하게 태그가 엉키는 경우가 종종생기는데 그 때만 html모드로 들어가서 중복된 태그를 지우고 그럽니다.
이 방법도 한번 해 봐야겠네요.
저도 html로 작성하고 싶어요 ㅠ_ㅠ
도아 DEL
(2007/12/14 15:41)간단히 글을 작성하는 경우라면 B, I, U, P, BR, TABLE, FONT 정도만 알아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합니다. 간단한 CSS를 알면 더욱 좋고요.
저도 WLW을 사용합니다. 특히 이미지를 중간에 섞어 글을 쓸 때 아주 편합니다. 참고로 저는 워드프레스를 쓰는 중입니다.
도아 DEL
(2007/12/14 22:52)초보자들에게는 상당히 편리합니다. 그러나 HTML을 잘알면 역시 태그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 한번 써보려고 했는데 결국 다시 HTML로 돌아왔습니다.
저도 한번 이 방법을 사용해봐야 겠네요. 매번 텍스트큐브 글 작성 메뉴에 들어가는게 귀찮아서 ㅎㅎ..
도아 DEL
(2007/12/19 12:26)텍스트큐브의 위지윅 편집기를 사용한다면 한번 사용해 봐도 됩니다.
저는 잘 안되네요. 왜 안될까요?
웹로그 설정은 무난하게 끝나고, 게시를 하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뜨네요.
웹 로그 서버에서 받은 metaWeblog.newPost 메서드에 대한 응답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Invalid response document returned from XmlRpc server
답답하네요. 무척,
도와주세요.
웹로그 설정은 무난하게 끝나고, 게시를 하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뜨네요.
웹 로그 서버에서 받은 metaWeblog.newPost 메서드에 대한 응답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Invalid response document returned from XmlRpc server
답답하네요. 무척,
도와주세요.
도아 DEL
(2008/02/03 10:09)블로그 API가 다르거나 블로그 API가 설정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처럼 보입니다. 다만 아무런 추가적인 정보없이 "안된다고"만 하시면 저로서는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마침 짜증날때. 이런방법이 있다는것을 깨닫고, 도아님 설명 잘듣고 실행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아 DEL
(2009/02/10 12:51)몇가지 문제가 있지만 이방법으로 올리는 것도 괜찮습니다.
블로그 에디터는 역시 윈도우 라이브 라이터 가 최강입니다 !!!
구글 크롬의 블로그 편집기는 사용해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고, 파이어폭스에서 플러그인으로
제공하는 ' scribefire ' 을 사용해 본적이 있지만 여러모로 불편하더라구요.
블로그를 편집하는 과정에 있어서 저에게는 절대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프로그램이죠 ^^
구글 크롬의 블로그 편집기는 사용해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고, 파이어폭스에서 플러그인으로
제공하는 ' scribefire ' 을 사용해 본적이 있지만 여러모로 불편하더라구요.
블로그를 편집하는 과정에 있어서 저에게는 절대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프로그램이죠 ^^
도아 DEL
(2011/05/22 14:40)HTML을 모는 사람이 쓰기에 괜찮습니다. 그러나 아는 사람들에게는 역시 직접 입력하거나 마크다운을 쓰는게 가장 좋습니다. 윈도 라이브 라이터도 쓸데 없는 헤더가 너무 많이 붙거든요.
감사합니다. 저는 티스토리의 서식 기능도 사용하고... 하지만 기본 작성기의 br이나 p, 또는 말하신 여러 남요문제 때문에 찝찝하게 사용하던 터이고, css가 글 쓸 때는 적용이 안되서 LWL을 사용해봤지만, 이 것도 br이나 p를 설정할 수 없고, 또 아무래도 뭔가 찝찝했습니다.
그런데 도아님은 직접 html로 올리신다는 말씀을 듣고.. 저도 그렇게 해보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런 과감한 생각은 못해봤었네요...
그런데 도아님은 직접 html로 올리신다는 말씀을 듣고.. 저도 그렇게 해보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런 과감한 생각은 못해봤었네요...
도아 DEL
(2012/12/31 10:54)저는 원래 프로그래머라 다른 도구를 쓰는 것 보다는 직접 입력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 다만 HTML 초보라면 직접 코딩 보다는 블로그에서 한번 소개한 **마크다운**을 사용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배우는데 1시간이 걸리지 않으니까요. 다만 티스토리에서 요즘은 마크다운을 지원하는지 모르겠습니다.
(2007/12/14 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