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sigle.com RE DEL
(2007/08/31 14:59)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비슷한 말로 편지 뒤에 붙이는 '배상'이라는 말의 쓰임새에 대해 혹시 아시는지요.
예전에는 XXX 드림. 혹은 XXX올림. 이렇게 썼었는데
나이가 들며 보니 배상이란 말을 더 흔하게 사용하는 듯 하더군요.
도아 DEL
(2007/08/31 15:10)
절하며 드린다는 뜻으로 보통 보내는 사람이 쓰는데 현재는 올림으로 순화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나이 드신분들은 아직도 배상을 한자로 사용하고 계시더군요.

이윤창 RE DEL
(2007/08/31 21:20)
이름뒤에 바로 붙는 '님'자는 일본식 표현이라고 들었습니다.
마땅히 쓸게 없어서 쓰기는 하는데... 좀 찝찝하더군요..
도아 DEL
(2007/09/01 07:04)
그렇게 아는 사람이 많지만 원래 PC 통신 시절 다른 사람을 존대하는 뜻으로 나온 말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쓴 [url=http://offree.net/entry/Wrong-Writer]필자[/url]에 대한 글의 답글을 읽어보시면 됩니다.

이천풍 RE DEL
(2007/09/01 23:52)
한자어는 일본보다는 중국의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님"은 원래 "임"입니다. 그러니까 "임금"에게 붙이던 말인데, 언제부터인가 일반인에게도 쓰게 되었습니다. 마누라와 비슷하죠. 마누라는 임금이 후궁을 부르던 이름입니다. "고맙다."는 말도 비슷하죠. 원래는 천지신명에게 감사를 뜻하는 말입니다. 그것을 고마운 사람에게까지 확대한 말입니다. "고마"가 "신령"(또는 곰(熊) 또는 검(귀신))을 뜻하니까요. 일본어 "구마"(熊)와 통합니다.
도아 DEL
(2007/09/03 07:45)
예. 중국어에서 왔을 수도 있고 일본식 한자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보는 이유는 조어법이 일본식 한자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또 임은 원래 한자로 任이라고 썼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천풍 RE DEL
(2007/09/05 18:11)
임금은 한자어가 아님에도 한자로 任劍이라고 썼죠.
도아 DEL
(2007/09/05 18:58)
음을 가차한 표현은 예전에 자주 사용되던 표현이니까요.

김홍배 RE DEL
(2008/12/09 12:10)
예하나 법하라고 하는 것은 어떤 차이가 있고, 그 쓰임새는요?
이 말의 출처는 어떻게 되나요?
도아 DEL
(2008/12/09 18:20)
저도 모릅니다. 직접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MJ RE DEL
(2011/02/13 21:55)
제가 지금 공부하고 있는 실용언어책엔 직함 뒤에 다시 귀하를 쓸수없다고 나와있습니다. 이중으로 높이는게 된다고 해요.
좌하:높은사람
귀중:단체
대형,인형:친근한사이:
귀하:보통사람
등 입니다...
과객 DEL
(2011/02/14 07:24)
그 책이 실용언어가 아닌 모양이군요. 그 논리면 대통령님도 잘못된 표현이겠죠. 마찬가지로 이중으로 높이는게 되니까요. 무엇이든 마찬가지지만 남들이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따라 하기 보다는 생각을 좀 해보시길.
MJ DEL
(2011/02/14 10:14)
대통령은 직함이름이고 거기다 님을 붙였으면 직함+님이 되는거지요. 대통령이 높임이라고 착각하신건가요? 제가 위 댓글에서 말한 건 직함+귀하가 이중이라는 겁니다.
그리고, (위의 편지봉투 예절이 나오는) 실용언어책으로 가르치시는 저의 선생님 말을 듣는것이, 남들을 무조건 생각없이 따라하는 행동이라는 말씀이십니까?
과객 DEL
(2011/02/14 11:11)
님이 쓴 내용입니다.

"직함 뒤에 다시 귀하를 쓸수없다고 나와있습니다. 이중으로 높이는게 된다고 해요."

이 말은 직함으로 한번 높이고 귀하로 한번 높인다는 뜻ㅇ죠? 그 직함에 높임의 뜻이 있느냐 없느냐는 전혀 나오지 않죠? 그런데...

"대통령이 높임이라고 착각하신건가요"

이 이야기가 왜 나오죠? 그럼 "부장"은 높임인가요? 스스로 무슨 말을 했는지 조차도 모르는가요? 아니면 "직함"이 무슨 뜻인지 모르고 쓴 글인가요?
과객 DEL
(2011/02/14 12:17)
그래서 한 이야기죠. 부장님은 "직함+님"이지.. 직함이 아닙니다. 뭐든 마찬가지지만 알고 쓰세요.
MJ DEL
(2011/02/14 12:17)
책과 필기한 것을 다시 보니, (봉투에 쓸때) '○○○ 사장님'처럼 직함을 쓰는 것이 이미 높임이라고 합니다. 거기다가 '○○○ 사장님 귀하' 또는 '○○○ 사장 귀하'처럼 다시 귀하를 붙이는 것은 이중 높임이라고 합니다.
'대통령님'처럼 높임을 뜻을 더하는 접사 -님을 붙이는 것은 이중높임이 아닙니다. (제 두번째 댓글에서 직함이 높임이 아니라고 했던것은 봉투쓸때와 일반적으로 호칭할때의 관습과 헷갈린것입니다. 봉투쓸때는 님없이 직함만 붙여도 높임이 됩니다.)
도아 DEL
(2011/02/14 12:20)
보자 보자 하니... 어이가 없군요. 이 블로그는 제 블로그입니다. 싸우고 싶으면 두분 블로그에서 싸우기 바랍니다. 도무지 예의도없이 다른 사람의 블로그에서 싸우는 이유는 뭔가요? 두사람 모두 차단했습니다.

Adelaide RE DEL
(2013/08/07 07:32)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러한 존칭을 어떻게 사용하여야 하는지 쉽게 배웠습니다.
앞으로 자주 들려서 여러 글을 읽어볼 생각입니다. 저는 국어실력이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라서, 댓글을 남길까 말까 고민하다가 댓글 남기는 곳에 쓰여있는 문구가 흥미로워서 남기고갑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써주세요.
도아 DEL
(2013/08/07 16:44)
감사합니다. 글이 휴지통에 있어서 복원했습니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