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하기 편한 외국 웹 하드들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웹 하드는 많다. 그러나 이러한 웹 하드의 공통점은
- ActiveX를 설치한다.
- 가입을 해야 한다.
- 파일의 유효기간이 있다.
- 유료이다.
등이다. 따라서 난 간단한 파일을 공유할 때는 국내 웹 하드 보다는 외국의 웹 하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외국의 웹 하드는
- ActiveX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가입이 필요없다.
- 경우에 따라 파일의 유효 기간이 없다.
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한번에 올릴 수 있는 파일 크기에 대한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고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가입이 필요없다'는 것도 큰 장점이므로 이 번 팁에서는 내가 자주 사용하는 웹 하드를 소개할까 한다.
[자세히 보기]
저작권
이 글은 QAOS.com에 2007년 3월 2일에 올린 사용하기 편한 외국 웹 하드들를 블로그에 올리는 것이다. QAOS.com에서 가져온 모든 글은 QAOS.com의 저작권(불펌 금지, 링크 허용)을 따른다.
- MP3가 많은 사이트 오늘 책읽기 계주를 진행하면서 블로그에 올린 글, 신경림의 시인을 찾... 새창
- WIDPIA라는 검색 사이트를 아시나요? 블로그에서 검색어 통계를 보면 의외로 야동 블로그로 오해... 새창
- YouTube 동영상을 다른 형식으로 바꾸기 지난 팁에서 YouTube 동영상을 하드 디스크에 쉽게 ... 새창
- YouTube 동영상을 쉽게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기 나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새창
- 무료로 도메인 등록하기 오늘 QAOS.com의 게시판에 무료로 도메인 등록하기라는 글이 올라왔다... 새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