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올림된 크롬 까나리에 버그가 있다면?


까나리 구빌드 실행하기

크롬 까나리 빌드는 크롬 최신 기능을 맛볼 수 있는 개발자판이다. 크롬의 원판이라고 할 수 있는 크로미움에 가장 가까운 판이다. 따라서 가장 최신의 기능을 담고 있지만 알 수 없는 버그도 많은 개발자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문제는 판올림한 까나리에 사용하기 힘들 정도의 상당히 심각한 버그가 있을 때이다. 이런 경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까나리 구빌드를 실행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구 까나리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다.

목차

세계 1위가 될 크롬

(Chrome)은 핑돔의 예측 그래프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올 11월 불여우의 점유을 넘어서고 내년 6월 인터넷 탐색기(Internet Explorer)의 점유율을 넘어선다. 예측치이기 때문에 틀릴 수 있지만 현재의 추세라면 충분히 가능하다. 또 안드로이드(Android)의 기본 브라우저가 모바일 크롬이 되면 이런 현상은 더 심해질 것이다. [출처:
까나리 구빌드

크롬 까나리 설치 폴더에는 크롬의 실행 파일인 chrome.exe가 있다. 그리고 새로운 빌드를 받은 경우에는 new_chrome.exe 파일이 추가로 생긴다. 이 상황에서 사용자가 크롬을 끝냈다 다시 시작하면 chrome.exeold_chrome.exe로 바뀌며 new_chrome.exechrome.exe로 바뀐다. 현재 실행하고 있는 크롬을 덮어쓸 수 없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까나리가 최신 빌드로 판올림되고 최신 빌드에 문제가 생겨 old_chrome.exe를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

결론old_chrome.exe, chrome.exe, new_chrome.exe 중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가장 최신 빌드가 실행된다. 즉, 일단 크롬 까나리가 최신 빌드로 판올림되면 이전 빌드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최신 까나리에 버그가 없다면 괜찮지만 버그가 있을 때는 문제가 상당히 심각해 진다. 또 이런 상황은 까나리를 사용할 때 의외로 자주 발생한다. 까나리는 개발자판 중에서도 검증이 거의 안된 원판에 가장 가까운 판이며 기능 시험 때문에 사용하는 판이기 때문이다. 이런 버그 중 실행하고 한 10분 정도 지나면 무조건 죽는 상당히 심각한 버그도 있었다.

구빌드 실행하기

이 때문에 찾은 방법이 까나리 빌드에 버그가 있을 때 구빌드를 실행하는 방법이 었다. 까나리를 쓰는 사람은 알겠지만 까나리는 거의 매일 새로운 빌드로 판올림된다. 그리고 이전에 사용하던 빌드는 [17.0.963.6]처럼 빌드 번호가 붙은 폴더에 그대로 남아 있다. 그런데 old_chrome.exe를 실행해도 구빌드가 실행되지 않는 것은 까나리 런처(chrome_launcher.exe)가 실행될 때 레지스트리를 확인하고 레지스트리에 설정된 빌드 번호에 따라 까나리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조금 번거롭기는 하지만 의외로 간단하다. 크롬 까나리 빌드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트리를 찾아 빌드 번호만 바꾸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빌드 번호를 바꾼 뒤 새로운 빌드가 나오면 자동으로 레지스트리가 또 바뀐다. 그러나 까나리 빌드의 판올림 주기가 보통 하루에 한번이기 때문에 버그가 잡힐 때까지 구빌드를 계속 사용하는 것도 그리 힘들지는 않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크롬'을 끝낸다. 아울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해서 chrome.exe가 표시된다면 이런 것들까지 작업 관리자로 모두 끝내야 한다.
  2. '시작/regedit'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친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나타나면 예를 클릭한다.
  3. 다음 레지스트리 키로 이동한다. 'CLSID'는 사용하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Clients'의 하위키를 이동하며 '값 이름'이 'name'이고 '값'이 'Google Chrome Canary'인 키를 찾으면 된다.
    HKCU\Software\Google\Update\Clients\{CLSID}
  4. 'REG_SZ'형의 'pv'를 두번 클릭한 뒤 '값 데이터'를 원하는 '구형 빌드 번호'(17.0.963.6)로 바꾸고 확인 단추를 클릭한다.

레지스트리를 이렇게 바꾼 뒤 크롬을 실행하고 크롬 정보를 확인하면 다음 그림처럼 구 까나리가 실행된 것을 알 수 있다.


관련 글타래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