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에 물이 줄줄(iPhone Flask), 어디서 팔까?


구글 이미지 검색

아이폰 물병을 보고 어디서 파는지 묻는 사람들이 많다. 그림만 보고 출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예전에 블로그에서 소개한 틴아이(TinEye)를 이용하면 된다. 그런데 아이폰 물병은 없었다. 그러면 어떻게 할까? 역시 구글신이다. 구글 이미지 검색은 이젠 그림으로 같은 이미지, 비슷한 이미지, 심지어 그림에 적당한 검색어까지 찾아 준다. 이 글에서는 구글 이미지 검색을 통해 그림의 출처를 찾는 과정을 소개한다.

목차

어디서 팔까?

아이폰 물병

아이디어가 상당히 기발한 제품이다. 생긴 것은 아이폰인데 물이 줄줄 흐른다(왼쪽 사진). 설사 아이폰이 침수가 됐다고 해도 발생할 수 없는 일이 어떻게 일어 났을까? 해답은 바로 오른쪽 사진에 있다. 사진을 잘 보면 알 수 있지만 이 제품은 아이폰이 아니라 아이폰처럼 생긴 물병이다. 이어잭 부분으로 물을 넣고 전원 스위치로 물병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다. 크기도 아이폰과 거의 같다고 한다. 따라서 겨울 산행에 위스키를 넣어 가면 딱일 것 같은 제품이다. [그림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그러다 발견한 아이콘이 구글 입력 창 옆의 작은 카메라 아이콘이었다. 아마 IT 쪽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잘알고 있겠지만 꽤 오래전에 구글에서 고글스(Goggles)라는 기능을 발표했다. 사진을 찍어 사진과 비슷한 이미지를 찾아 주는 기능이었다. 이 기능이 도입될 당시에 이제 검색이 상당히 쉬워질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무엇인지 몰라도 사진을 찍어 올리면 바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을 검색할 결과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월드마켓아이폰 물병이 가장 먼저 올라온다. 또 왼쪽 그림을 가져온 크롬의 시장 점유율

2009년 8월 60%에 달하던 인터넷 탐색기(Internet Explorer)의 점유율은 41.89%로 떨어졌다. 불여우(Firefox)는 32.28%에서 27.49%로 5% 정도 떨어졌다. 반면에 크롬은 0%에서 23.16%로 인터넷 탐색기와 불여우가 빼앗긴 점유율을 그대로 받아 왔다. 안드로이드의 모바일 브라우저까지 크롬으로 바뀌면 이런 현상은 더 가속화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무튼 크롬 사용자는 그림으로 그림을 검색하는 기능을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구글 이미지 검색에 접속한 뒤 그림을 올리거나 URL을 입력하지 않고 검색할 그림에 마우스 오른쪽 단추만 클릭하고 'Search Google with this image'를 선택하면 바로 검색할 수 있다. 즉, 틴아이 확장을 이용해서 그림을 검색하는 것과 똑 같은 방식으로 그림을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롬 사용자는 다음 링크를 클릭한 뒤 설치 단추를 클릭해서 조금 더 편하게 구글 이미지 검색을 사용하기 바란다.

Search by Image (by Google)

관련 글타래

  1. 월드마켓은 제품을 소개하고 주문을 받아 판매하는 방식도 취하고 있다. 
  2. 병은 Bottle이지만 제품 아이디어 때문인지 Flask(액체를 담는 용기)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3. 물론 처음 발표됐을 때는 검색 결과가 별로 없었다. 
  4. 크롬을 보자 마자 난 크롬이 구글 OS의 플랫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쓴 글이 구글 크롬은 구글 OS의 신호탄이라는 글이다. 그런데 당시 많은 사람들은 "구글이 왜 OS를 만드냐"며 논쟁을 벌였던 기억이 있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