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텐도? GPH 게임기 카누 리뷰 1


비운의 게임기 카누(Caanoo)

카누는 케임파크홀딩스에서 개발한 국산 게임기이다. 이 게임기를 사용해 본 사람을 알겠지만 하드웨어는 상당히 괜찮은 제품이다. 그러나 게임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부족하다. 카누 전용 게임이 거의 없다. 즉, 괜찮은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지만 컨텐츠가 부족하다 보니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카누는 우리나라의 현실과 상당히 비슷하다. 하드웨어 육성에만 집중하다 보니 소프트웨어 마인드 자체가 사라진.

목차

명텐도가 아니라 카누

오늘 소개하려는 제품은 GPH카누(Caanoo)라는 게임기이다. 이른바 '명텐도'로 알려진 게임기이다. 아마 작년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생각은 하고 사는 것인지 의문인 이 뜬금없이 말 한 마디를 던졌다. 작년 2월 4일 '현장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다. "우리도 닌텐도처럼 크리에이티브한 제품을 개발할 수 없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손자가 들고 다니는 NDSL(Nintendo DSL)을 보고 아무 생각없이 던진 말이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은 아주 명확하다. 적어도 처럼 하드웨어 삽질 마인드만 가진 나라에서는 절대 불가능하다. NDSL이나 PSP와 같은 게임기가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 수 있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 게임기(하드웨어)에서 돌아가는 우수한 컨텐츠(소프트웨어)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시장은 아주 오래 전에 사라졌다.

이런 환경에서 NDSL이나 PSP와 같은 창조적인 작품을 기대하는 자체가 넌센스다. 더우기

포장은 상당히 견고한 마분지 재질이다. 그리고 리뷰용으로 받은 제품의 포장에는 사진처럼 SD 메모리가 붙어있었다. 원래 SD 메모리는 따로 구매해야 한다. 그런데 받은 제품의 SD 메모리는 카누 로고가 이미 찍혀있었다. 외부 포장에서 서랍처럼 내부 포장물을 꺼내면 게임기와 악세사리가 나타난다.

본체는 작은 비닐 봉투에 담겨있다. 이 봉투에서 게임기를 꺼내면 상당히 깔끔한 디자인의 본체가 나타난다. 카누 전용 게임과 에뮬 게임 모두를 고려했기 때문에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단추가 상당히 많다. 활용도면에서는 잇점이 있지만 쉬운 접근이라는 면에서는 조금 불편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날로그 조그셔틀(위, 왼쪽), '헬프 I, II'(위, 오른쪽). 아날로그 조그셔틀은 따로 설명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게임 캐릭터를 이동할 때 사용한다. 고무 재질이라 미끄럽지 않으며 쥐는 감이 좋다. 또 아날로그 조이스틱이라 움직임 역시 상당히 부드럽다. 오락실 게임기의 스틱과 같은 맛은 나지 않지만 게임 조작에는 상당히 편리했다. 특히 마메와 같은 에뮬 게임에는 더없이 편했다. 헬프 I은 게임을 할 때 도움말을 볼 수 있는 단추이다. 마메 에뮬을 돌릴 때 헬프 I는 오락기에 동전을 넣는 용도였고 II는 게임을 시작하는 용도였다.

게임 단추(왼쪽), 마이크 단추(오른쪽). 마메 게임과 다른 게임기의 호환성을 위해 게임 단추는 A, B, X, Y의 네개의 단추를 제공한다. 이중 주로 사용되는 단추는 B와 X이다. B는 일반적으로 엔터키와 비슷하게 선택할 때 사용되며 X는 선택을 취소(이전 메뉴)할 때 사용된다. 이 게임 단추 아래쪽에는 작은 마이크와 홈 단추가 있다. 홈 단추는 누르면 언제든지 카누 메인 화면으로 복귀한다. 카누 게임기 단추 중 가장 직관적인 단추로 보인다.


본체 단추 L, R. 다른 게임기와 마찬가지로 카누에도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L, R 단추가 있다. 다만 이 단추는 쓰임새가 많지 않았다. 중력센서와 마찬가지로 이 키를 사용하는 게임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다만 마메 게임에서 설정을 바꾸고 게임 목록을 이동할 때 L, R키가 사용된다.


전원 LED(위, 왼쪽), USB 및 전원 포트(위, 오른쪽), 전원 단추(아래, 왼쪽), 스피커 볼륨(아래, 오른쪽). 정면에서 봤을 때 왼쪽에 전원 LED가 있다. 사용중, 충전중, 충전완료시 모두 색깔이 바뀐다. 또 아래쪽에는 앞에서 설명한 USB 포트, 24핀 전원포트가 있다. 충천기 호환성을 위해 24핀 포트를 사용한 듯하다. 그러나 이 포트를 통해 컴퓨터 USB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송속도는 상당히 느렸다.

역시 정면에서 봤을 때 오른쪽에는 전원 및 홀드 단추가 있다. 꺼져있을 때 전원 단추를 내리면 전원이 켜지며, 반대로 켜져있을 때 내리면 꺼진다. CPU의 속도 때문인지 몰라도 게임의 부팅 속도는 상당히 빠른편이었다. 또 이 전원 단추를 위로 올리면 홀드 모드로 동작했다. 마지막으로 카누 게임이 위쪽에는 스피커 볼륨과 SD 카드 슬롯이 있다.

뒷면의 디자인도 상당히 깔끔하다. 마무리도 잘되있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괄호 모양의 고무 패킹이 붙어있다. 이 고무 패킹 바깥쪽에 작은 스피커 두개가 붙어있다. 출력은 높은 편이 아니지만 의외로 소리는 큰 편이었다. 또 뒷면 한켠에 화면 터치용 스타일러스펜이 있었다. 그러나 카누는 아날로그 조이스틱 때문에 이 펜의 활용도는 상당히 떨어졌다. 이동은 조그셔틀로 하고 터치는 손가락으로 해도 큰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스타일러스 펜, 핸드 스트랩, 24핀 USB 전원 케이블(왼쪽), 간단한 사용자 길잡이(중간), 매뉴얼 CD(오른쪽). 구성품은 간단했다. 다만 CD에 매뉴얼만 달랑 들어가 있는 것은 조금 아쉬웠다. 이 씨디에 단순히 메뉴얼만 담아 두는 것이 아니라 펀지피 매니저와 무료 어플, 게임을 담아 실행하면 바로 카누 게임기에 설치되는 형태였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SD 카드는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뒷면으로 꼽아야 한다. 다만 SD 카드를 꼽아도 게임기를 바로 사용할 수는 없다. 게임기와 SD 메모리를 따로 판매한다. 따라서 SD 카드는 빈 메모리 카드이다. 이 때문에 어플을 실행하거나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펀지피 사이트에 가입, 펀지피 매니저로 게임이나 어플을 내려받아 설치해야 한다. 이 과정은 두번째 글에서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총평

카누 게임기를 사용하다 보니 하드웨어는 만족스럽지만 소프트웨어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일단 어플을 지원하지만 실행할 수 있는 어플이 너무 없었다. 펀지피의 사이트에는 고작 보이스 레코더 하나가 올라와 있었다. Open Handhelds에는 조금 더 많은 어플을 구할 수 있지만 쓸만한 어플을 찾아 보기는 힘들었다. 더 큰 문제는 카누 게임기에서 도는 카누 전용 게임이 턱없이 부족했다. 펀지피 사이트에는 여러 게임이 올라와 있지만 대부분 오락실 게임을 변환한 게임이었다.

또 카누 전용 게임도 카누 게임기의 사양에 비해 질이 조금 떨어진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었다. 나름대로 품질을 유지한 것은 리드모스 정도가 아닌가 싶었다. 물론 돌려라 파티쉐같은 게임은 내가 좋아하는 게임이기는 하지만 그래픽은 역시 떨어지는 편이었다. 아울러 카누 게임기의 악세사리를 찾다 보니 악세사리도 턱없이 부족했다. 펀지피에서 판매하고 있는 와이파이 동글, 젤리 케이스, 보호필름이 전부였다. 아마 판매된 양이 얼마되지 않아 악세사리 시장 자체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게임기라고 하면 아이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실제 카누 게임기를 한달 동안 가지고 논 아이들은 NDSL 보다 카누 게임기를 좋아했다. 그런데 문제는 카누 게임기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쉽지 않았다. 앞에서 설명했지만 SD로 게임을 설치할 수 있는 것도 펀지피 매니저를 사용해서 게임을 내려받아 설치하는 것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부분은 개발사에서 조금 더 고민을 해봐야 할 부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 글

카누 게임기의 리뷰는 '총 5부작'으로 연재할 예정이다. 원래는 4부작으로 1회는 개봉기 및 게임기의 구성, 2부는 마메 에뮬 완전 정복, 3부는 네오지오 에뮬, 4부는 카누로 바라본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 순으로 진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하드웨어에 대한 부분의 설명이 길어져 1회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두개로 나누어 올리기로 했다.

다만 나름 대로 든 하드웨어이지만 이 게임기에서 돌아가는 컨텐츠는 너무 부족하다는 생각이다. 카누의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게임이 있다면 카누의 운명 역시 정말 달라졌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만큼 카누는 하드웨어면에서 잇점이 있다. 그러나 그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턱없이 부족했다. 이 부분은 마지막 글에 다시 한번 언급하도록 하겠다.

관련 글타래

  1. 정확히는 카누가 아니라 위즈였다. 그러나 카누까지 '명텐도'로 불리고 있기 때문에 '위즈'대신 카누를 사용했다. 
  2. DSi가 133MHz를 사용한다. 
  3. 댓글을 달아 준 Gunmania님에 따르면 "24핀 포트를 이용해서 TV 출력을 한다"고 한다. 24핀 표준이 아니라 변형 규격인 듯하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