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9, 하드웨어 가속이 승부를 갈랐다!
IE 9 베타 출시 간담회
며칠 전에는 양제역 근처 엘타워 8층에서 블로거를 대상으로한 IE 9 베타 출시 간담회가 있었다. "하드웨어 가속으로 크롬을 압도한 점"은 꽤 인상적이었다.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테스트 드라이브 사이트'의 'Fish Tank'에서 '물고기의 수를 증가시면 IE 9와 크롬의 속도 차이가 현저하게 벌어진다'. '물고기의 수'를 '1000마리'로 증가시키면 IE 9는 '30FPS' 정도의 속도를 보여주지만 크롬은 3FPS, 즉 IE의 10분 1로 뚝 떨어진다.
알림
이 글을 읽은 뒤 꼭 다음 링크의 글도 읽어 보기 바랍니다. 속도가 빠른 이유는 다른 곳에 있었습니다. 발표자분이 잘못알고 시연한 것이며 출시 행사에 참석한 분께 메일로 해당 사실을 알리기로 했습니다.
왼쪽은 트위터, 오른쪽은 블로그를 작업 표시줄에 등록한 것이다. 트위터의 기능과 블로그의 기능이 점프 리스트로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블로그는 기능을 시험하기 위해 트위터의 파비콘을 가져왔기 때문에 두 사이트의 점프 리스트 아이콘이 똑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두번째로 주의해서 볼 부분은 바로 바로 앞으로, 뒤로 아를콘과 옆의 로고이다. 예를들어
물론 점프 리스트의 기능은 모든 사이트에서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사이트의 기능 일부를 점프 리스트에 표시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형식의 메타 태그(Meta Tag)를 사용해야 한다. 이 기능은 반가우면서도 조금 못마땅한 부분도 있다. 기껏 IE6에 비해 표준을 잘 지킨다고 홍보하면서 IE 9에서만 동작하는 비표준 기능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 부분은 메타 태그를 이용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meta name="msapplication-task" content="name=기능 이름; action-uri=기능 URL; icon-uri=아이콘 URL" />
"사람들은 PC를 사용하며 53%를 웹 브라우징 소모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틀리는 이야기는 아니다. 나 역시 웹 브라우징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 대부분이 웹을 통해 이야기 하고, 게임을 하며, 쇼핑을 한다. 따라서 IE 9의 접근 방식은 분명히 옳다. 그러나 이 부분을 보면 크롬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개발한 구글이 떠오른다. 빠른 웹, 표준 웹, 안전한 웹, 깔끔한 웹.
IE 9를 설계하며 신경 쓴 4가지 항목이라고 한다. 일단 IE 9는 타사의 브라우저에 비해 빠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크롬에 버금간다. 그러나 하드웨어 가속으로 다량의 그래픽을 요구하는 작업에서는 크롬을 압도하고 있다. 즉, 다른 것은 몰라도 빨라진 것은 모두 인정해야 할 듯하다. 두번째로 등장한 표준 웹도 인정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IE 6이라는 괴물로 수없이 받은 비판을 인식한 듯 IE 9는 표준을 상당히 잘 준수한다.
따라서 웹 표준을 준수한 사이트는 다른 작업을 하지 않아도 IE 9에서 아주 잘 동작한다.
식사는 부페로 제공됐다. 음식의 종류도 많고 다양한 회까지 제공됐다. 그러나 부페에서 회는 먹지 않는 버릇 때문에 막상 나는 먹을 것이 없었다.
좌학주니, 우JWMX. 발표장에서 배치였다. 물론 행사 주최측에서 이렇게 배치한 것은 아니다. 아는 사람끼리 모이다 보니 이런 배치가 됐다. 이 덕에 'JWMX'님의 '갤럭시 S'(스폰), '학주니'님의 '베가'를 가지고 놀았다. 또 발표가 조금 따분한 듯해서 사이사이 갤럭시 S와 배가의 사진을 찍어 봤다.
마지막 두장의 사진이 베가이다. 갤럭시 S(스폰)은 JWMX님이 사용중인 폰이라 사진을 조금 많이 찍었다. 베가는 아직 개통이 되지 않았고 학주니님이 꺼둔 상태라 두장만 찍었다.
따로 사진을 찍지 않았지만 행사가 끝난 뒤 'JWMX'님, 트위터(Twitter)의 독수리만세(@eaglemanse)님과 양재역 1번 출구 근처에서 간단히 술을 마셨다. 재미있는 것은 모두 486이었다. JWMX님과 동갑, 독수리만세님은 한살 어렸다. 다만 i7 코어까지 등장한 시점에 아직도 486인 것을 보면 이제 모두 구세대인 것은 확실해 보였다. 늦은 시간까지 퇴근 할 수 없었던 JWMX님은 사무실로 복귀했다. 아마 이 계통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낯선 광경은 아닐 것 같다. 그리고 독수리만세님과 다시 분당으로 이동, 간단히 술 한잔을 더 했다.
남은 이야기, 말이 짧은 마소 직원
며칠 전 트위터에 간담화 단평을 올린 뒤 댓글이 하나 달렸다. 간담회에 참석한 사람이라면 댓글을 단 사람이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직원이며, 간담회 당일 발표자였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을 것이다.
혀가 짧아 말이 짧은 것인지 아니면 RT를 하며 내 글을 자르지 않기 위해 말이 짧아진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업체의 이런 대응은 그리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블로그의 글이나 홈페이지의 글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난 비스타(Vista)[4]나 윈도 7(Windows 7)에 상당히 우호적이다. 또 윈도 7의 출시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히 올라갔었다. 그런데 이런 기대감을 싹 무너뜨린 주인공이 바로 이 친구[5]이다.
IE 9도 비슷하다. 며칠 전 올린 글처럼 IE 9는 크롬이나 다른 브라우저를 그냥 베낀 것으로만 생각했다. 그러나 간담회를 하고 난 뒤 이런 생각은 조금 바뀌었다. '베끼기는 했어도 어느 정도 독창성이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그래서 윈도 7을 출시할 때와 비슷하게 IE 9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정도 생겼다. 또 주 브라우저는 아니지만 보조 브라우저로 사용해볼 생각도 있었다. 그런데 이런 트윗이 달리는 것을 보니 아직은 멀었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이 트윗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베꼈다'는 것을 인정한 트윗이라는 것이다.
관련 글타래- IE9, 복사니 벤치마크니? 어제 샌프란시스코에서 인터넷 탐색기 9 베타(Internet Explorer 9... 새창
- 까나리(액젓?)가 된 크롬 블로그를 확인해 보면 알 수 있지만 최근 주로 사용하는 브라우... 새창
- 오페라 브라우저로 프리젠테이션을? 오페라(Opera)는 넷스케잎(Netscape)이 시장 주도 브라우저였을... 새창
- IE 8 - 얼마나 빠를까? SunSpider 베치마크 결과는 이전에 올린 크롬보다 18.5배 느린 Int... 새창
- 크롬보다 18.5배 느린 Internet Explor... 오늘 Firefox의 새로운 자바스크립트 엔진인 Tra... 새창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