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d Touch 강좌 61. 원클릭으로 해킹하기


덕만 vs 미실

내 블로그에는 아이팟 터치에 대한 글이 상당히 많다. 태그 카테고리에 등록된 글만 154건이다. 또 강좌로 올린 글만 60건이다. 여기에 스마트폰인 아이폰(iPhone)에 대한 글도 상당히 많다. 얼마 전 iOS 3.1.2(iOS)가 나왔다. 3.1에서 와이파이로 위치 확인이 되지 않는 문제는 여전하지만 어제 날잡아 다시 판올림했다. 3.1.1로 판올림 한 것이 지난 10월 5일이므로 채 10일이 되지 않아 다시 판올림한 셈이다.

목차

덕만 vs 미실

내 블로그에는 에 대한 글이 상당히 많다. 만 154건이다. 또 강좌로 올린 글만 60건이다. 여기에 스마트폰인 아이폰(iPhone)에 대한 글도 상당히 많다. 얼마 전 iOS 3.1.2(iOS)가 나왔다. 3.1에서 와이파이로 위치 확인이 되지 않는 문제는 여전하지만 어제 날잡아 다시 판올림했다.

  • 다음과 같은 조금 촌티나는 화면이 나타나면 'make it ra1n'단추를 클릭한다.
  • 'entering recovery...', 'running...'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며 해킹이 진행된다. 이때 '아이팟 터치'는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먼저 오른쪽 아래 작은 사진처럼 소년의 모습이 나타나며 이어 애플 로고가 나타난다.

  • 확인창이 나타나면 '확인' 단추를 클릭한다. 이 확인창은 해킹이 진행되는 과정에 나타날 수도 있다.
  • 어이없지만 이것으로 해킹은 끝난다. 해킹된 아이팟 터치의 스프링보드(Springboard)에 'blackra1n'이라는 아이콘이 있으면 정상적으로 해킹된 것이다. 한가지 주의할 것은 iPhone Dev TeamPwnageTool도 며칠 전부터 3.1.2를 지원하므로 해킹을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blackra1n 보다는 iPhone Dev Team의 공식 해킹 도구나 커스텀 펌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쉽게 해결할 수 있지만 blackra1n은 해킹한 뒤 루트 폴더에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 이외에 다른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Cydia 설치

    해킹한 아이팟 터치의 잠자고 있는 숨은 재능을 깨우려고 하면 역시 를 설치해야 한다. 1.x에서 자주 사용되면 Installer는 현재 퇴출된 상태고 2.0에서 등장한 Cydia와 3.0에서 등장한 Icy가 설치 프로그램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Cydia에 대한 설명은

    Cydia를 설치한 뒤

  • 과 같은 브라우저의 주소표시줄에 '아이팟 터치'에 표시된 주소를 입력한다.
  • 웹 브라우저에서 /System/Library/Lockdown 폴더로 이동한다.
  • Services.plist에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 다른 이름으로 링크를 저장한다. 이 과정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백업 과정이다.
  • iPod-Services.zip를 내려받아 임의의 폴더에 압축을 풀어둔다.
  • 웹 브라우저의 파일 선택 단추를 클릭하고 6단계에서 압축을 푼 파일(Services.plist)을 지정한 뒤 'Upload' 단추를 클릭한다.
  • 아이팟 터치를 다시 시작한다.
  • 루트 폴더에 접근하지 못하는 이유는 Services.plistcom.apple.afc2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plist 편집기로 다음 항목을 추가해도 된다.

    <key>com.apple.afc2</key> <dict> <key>AllowUnactivatedService</key> <true/> <key>Label</key> <string>com.apple.afc2</string> <key>ProgramArguments</key> <array> <string>/usr/libexec/afcd</string> <string>--lockdown</string> <string>-d</string> <string>/</string> </array> </dict> 

    나도 blackra1n 보다는 iPhone Dev Team의 공식 도구를 더 좋아한다. 그런데 이 해킹강좌를 쓴 이유는 blackra1n은 다른 어떤 해킹 도구보다 해킹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 강좌에서는 어플 설치와 시스템 루트를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까지 다루었기 때문에 복잡해 보이지만 해킹만 생각하면 정말 쉽다.

    관련 글타래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