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아와 트위터를 3. 글쓰기와 글영역


트위터 기본

아래 첫 두 글을 읽고 여러 채널에 팔로(Follow, 듣기 신청)만 해도 트위터는 그 자체로 정보 채널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중요한 정보라면 다른 사람이 글에 마우스를 올려 두면 나타나는 별표(즐겨찾기, Favorites)를 클릭해서 즐겨찾기 해두는 것도 괜찮다. 그러나 역시 트위터에 빠질려고 하면 단순히 듣는 것 보다는 듣고 말하는 것이 더 낫다. 따라서 이번 글에는 트위터에서 글을 올리는 방법과 트위터의 글 영역에 대해 설명하겠다. 글이야 올리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각각 미세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목차

글을 읽기 전에 다음 두개의 글을 먼저 읽어 두는 것이 좋다. 특히 혼잣말 하기

말걸기

@ 말걸기
말을 건 상대의 트위터

댓글달기

말걸기댓글달기는 외형적으로 보면 똑 같다. 그 이유는 모두 글이 '@아이디'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댓글로 단 글은 '어떤 글에 대한 댓글'인지가 따라다닌다는 점이다. 이처럼 어떤 글에 대한 댓글인지 따라 다니게 하려면 단순히 입력창에 '@아이디'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는 되지 않는다. 먼저 댓글을 달려고 하는 글에 마우스를 올리고 오른쪽에 나타나는 화살표를 클릭 한다. 그 뒤 입력창에 글을 입력하면 이 글은 어떤 글에 대한 댓글인가에 대한 정보가 따라다닌다.

화살표를 클릭
입력창에 글 입력
서로 연결된 댓글

그림처럼 글과 댓글을 연결하려고 하면

비밀글을 받고 비밀글을 보내면 자동으로 'Send ... a direct message'라는 메뉴에 '아이디'가 추가된다. 다만 중요한 것은 이 메뉴에는 내가 팔로한 모든 사람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비밀글을 보낸 사람만 표시'된다. 따라서 이전에 비밀글을 보낸 적이 있는 사람은 이 메뉴에서 선택해서 비밀글을 보내면 된다.

먼저 보내기

비밀글을 받은 적이 없고 또 내가 비밀글을 보낸 적이 없는 사람은 'Send ... a direct message'라는 메뉴를 통해 비밀글을 보낼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비밀글을 보내려고 하면 먼저 자신의 트위터에서 'following'를 클릭한 뒤 'Direct dessage'를 클릭해서 보내면 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비밀글은 팔로한 사람에게만 보낼 수 있다. 즉, 나를 팔로한 사람에게만 보낼 수 있는 기능이다.

트위터의 글 영역

트위터의 글 영역은 총 4가지로 나뉜다. 팔로한 사람과 내 글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공적 공간인 홈, 내가 쓴 글이 표시되는 공적 공간인 프로필, 나를 언급한 글(@doax)이 표시되는 사적 공간인 '@아이디', 마지막으로 나에게 보낸 비밀글과 내가 보낸 비밀글이 모아져 있는 DM이다.

① 홈(Home)

내 글과 내가 팔로한 사람들의 글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② 프로필(Profile)

원래는 내가 쓴 글이 표시되는 공간이다. 그러나

③ @아이디

사이드 막대의 '@아이디'를 클릭하면 나를 언급한 글을 모아 보여준다. 예를들어 누군가 글을 올리면서 '@doax'를 포함시키면 이 글이 '@아이디'에 표시된다. 다만 이 공간은 사적 공간이기 때문에 아이디 주인만 이 글을 볼 수 있다

④ DM(Direct Message)

팔로한 사람들과 비밀글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 이 글과 @아이디의 차이는 @아이디는 나에게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나와 글을 쓴 사람이 팔로한 사람에게 보이는 반면 DM은 오로지 나에게만 보인다.

관련 글타래

  1. 물론 @doax를 이용해서 말을 건 사람과 이 사람이 팔로한 사람도 글 하나는 볼 수 있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