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으로 컴퓨터 켜기(WOL)


[desc]전기 먹는 하마, 컴퓨터|컴퓨터는 전기 먹는 하마다. 얼핏 얼마 먹지 않을 것같지만 컴퓨터는 냉장고 다음으로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기기다. 따라서 집에 전기요금이 많이 나온다면 비스타 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문명의 이기, 컴퓨터

컴퓨터가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이제 컴퓨터는 일상이 됐다. 그러나 이 컴퓨터는 전기 먹는 하마이기도 하다.

다가구를 신청하려고 하면 2층에서 다가구를 신청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인 아저씨는 2층의 전기를 함께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주인집에서 1~2만원 정도는 부담할 수 있다고 했다. 그래서 지난 3월부터 2층의 전기를 끌어와서 사용하고 있다. 내가 사용하는 전기량은 월 200~250KW 정도인데 지난 달에 전기요금으로 3만5천원을 청구했고 이달에는 전기세가 더 많이 나왔다고 전기세로 4만원을 달라고 하는 것이었다.

두 가구 신청을 한 전기세가 얼마나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겨울 내내 난방기를 사용하고 여름에는 냉방기를 사용할 것을 생각해 보니 2층과 함께 전기를 사용하면서 물어야 하는 전기요금이 더 많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문제는 모든 작업을 사무실 PC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무실 PC를 꺼둘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필요할 때만 PC를 켜 수 있다면 굳이 컴퓨터를 계속해서 켜둘 필요는 없기 때문에 WOL을 이용해서 PC를 원격으로 켜기로 했다.

일반적으로 WO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WOL을 지원하는 메인보드가 필요하며, 메인보드에서는 WOL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메인보드와 랜카드에 WOL 3핀 단자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요즘 나온 메인보드는 대부분 WOL을 지원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부분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서 WOL을 설정하고 공유기에서 컴퓨터를 켜기위해 매직 패킷을 날리면 될 것 같은데 의외로 BIOS에서 WOL을 설정하고 공유기에서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날려도 PC(Personal Computer)가 켜지지 않았다. 결국 목마른 놈이 우물 판다고 WOL을 설정하는 더 정확한 방법을 찾게 되었다.

[자세히 보기]

저작권

이 글은 QAOS.com에 2008년 05월 16일에 올린 WOL 사용하기를 블로그에 다시 올리는 것이다. QAOS.com에서 가져온 모든 글은 QAOS.com저작권(불펌 금지, 링크 허용)을 따른다.

관련 글타래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