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하의 지지를 받은 이명박


최하 지지, 최고 득표율의 비밀

어제 대선이 끝났다. 비리의 판도라, 부패의 판도라인 후보가 2위 정동영 후보를 압도적인 표차이로 누르고 제 17대 에 당선됐다. 이러한 결과를 보고 과 일부 수구 진영에서는 분위기가 한 껏 고무된 모양이었다. 출구 조사에서는 무려 50%가 넘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과반수 이상이 지지한 후보라는데에도 의미를 두는 듯 했다. 그러나 15, 16, 17대 대선을 분석해본 결과 후보의 지지율은 역대 최하였다.

김영삼 이 당선된 14대도 포함하는 것도 괜찮겠지만 삼당 야합으로 당선된 것이라 김영삼 의 14대는 제외했다. 일단 15대 이 1032만표로 40.3%의 지지를 받아 당선됐다. 당시 투표율이 80.7%이므로 전체 유권자 중 에게 투표한 사람은 전체 유권자 중 32.5%(40.30.807)가 된다. 16대 이었던 은 1201만표로 현재 당선자의 1149만표보다 50만표 이상을 더 받아 에 당선됐다. 당시 투표율이 70.8%이므로 전체 유권자 중 34.6%(48.90.708)의 지지를 받아 당선됐다.

마지막으로 이번에 이된 후보는 1149만표로 투표한 사람 중 48.7%의 지지를 받았다. 이를 이전 과 마찬가지로 투표율을 곱하면 전체 유권자 중 30.6%의 지지를 받아 에 당선된 셈이다. 48.7%라는 지지율이 아주 높은 것 같지만 전체 유권자 중 고작 30%의 지지를 받아 역대 대선 후보중 가장 낮은 지지율로 당선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통계는 숫자에 불과하다. 따라서 굳이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 숫자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면 먼저 후보를 지지한 사람은 전체 유권자 중 고작 30%에 불과하며 15, 16대 대선과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지지율로 당선됐다는 것을 잊지 말기 바란다.

15대(80.7%) 16대(70.8%) 17대(62.9%) 1위 1032만 40.3% 1201만 48.9% 48.7% 1149만 2위 이회창 993만 38.7% 이회창 1144만 46.6% 정동영 26.1% 617만 3위 이인제 492만 19.2% 권영길 95만 3.9% 이회창 15.1% 355만 4위 권영길 30만 1.2% 이한동 7만 0.3% 문국현 5.8% 137만 5위 신정일 6만 0.2% 김길수 5만 0.2% 권영길 3.0% 71만

권영길 후보는 97년에는 30만표로 4위, 2002년에는 95만으로 3위, 2007년에는 71만으로 5위로 떨어졌다. 무엇때문에 아름다운 퇴장을 뒤로 하고 대선에 출마했는지 지금도 의문이다. 문국현 후보는 5.8%, 137만표를 얻었다. 8월에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언론에서도 계속 도외시 한 것을 생각하면 그래도 상당히 선전한 것 같다. 남은 5년 동안 우리가 희망을 잃지 않는다면...

수구 불변의 법칙

그러면 어떻게 최하의 지지율로 당선될 수 있었을까?

이 부분이 궁금하다면 대선 다음에 치뤄진 총선에서 출구 조사 발표가 나오기도 전에 쓴 한나라당의 예상 의석수를 보기 바란다. 투표율이 낮으면 수구가 반드시 승리한다는 수구 불변의 법칙이다.

관련 글타래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