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모드(명령행)에서 프로그램 삭제하기


안전 모드

반면에 XP에서 제공하기 시작한 안전 모드(명령행)은 쉘을 Exproler.exe에서 cmd.exe로 변경한 것일뿐 XP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기때문에 상당히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해서 부팅이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 안전 모드로 부팅하며, 이 안전 모드 부팅까지 문제가 있으면 안전 모드(명령행)으로 부팅할 수 있다.

목차

안전 모드

XP에서 보강된 기능중 하나는 명령행 부팅(복구 콘솔과 안전 모드(명령행))이다.

  • '새로운 시작화면'에서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예: Administrator)로 로그인 한다.
  • 프로그램 삭제
    NT 계열의 OS에는 '프로그램 추가/제거'라는 '제어판 애플릿'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 제어판 애플릿을 시작/제어판을 통해 기동하기 때문에 이 애플릿을 명령행을 통해 기동하는 방법은 모르고 있다. 그러나
  • 드라이버 삭제
  • 시스템을 종료하기 위해 명령행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shutdown -s -t 0
  • 이 글은 QAOS.com에 2004년 12월 07일에 올린 안전모드(명령행)에서 프로그램 삭제하기를 블로그에 다시 올리는 것이다. QAOS.com에서 가져온 모든 글은 QAOS.com저작권(불펌 금지, 링크 허용)을 따른다.

    관련 글타래

    1. 예전에 회사에서 직원을 뽑은 적이있다. 리눅스까지 잘 다룬다고해서 텔넷으로 회사 서버를 관리하도록 시켰다. 리눅스까지 잘 다룬다는 사람이 명령행을 보고 넋을 놓았다. 'OS를 잘 다룬다'는 건 GUI 환경하에서 OS를 조작할 줄 안다는 뜻이 아니다. 'OS를 잘 다룬다'는 뜻은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OS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를 해결하는 최후의 수단은 모두 명령행이다. 따라서 어떤 OS든 명령행을 능수 능란하게 다룰 수 없다면 스스로 고수라고 칭하지 않는 것이 좋다. 명령행을 다룰줄 모르는 고수는 세상에 없다. 
    2. 불필요한 드라이버나 문제가되는 드라이버를 삭제하기전 에 장치관리자에서 제거된 장치 표시하기를 미리 적용해두는 것이 좋다. 장치관리자에서 제거된 장치 표시하기는 시스템을 새로 설치한 후 가장 먼저 적용하는 팁중 하나이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