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podXP
나는 악세사리 형태의 프로그램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강좌로 소개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시스템 리소스를 차지하는 만큼 활용도가 높은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오늘 소개하는 podXP도 위젯류 악세사리 프로그램이지만 지금까지 사용해본 어떤 프로그램 보다도 가벼웠다. podXP만 실행하면 알림영역에 podXP의 아이콘만 나타나지만 이때 차지하는 메모리 점유율은 300K대에 불과했다. 총 17개의 pod를 띄워도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하나 띄운 것과 비슷한 2~3M 정도의 메모리를 차지했다.
podXP만 실행한 경우 17개의 pod를 실행한 경우

목 차
- podXP 설치
- podXP의 사용
- podXP의 옵션
- 사용할 수 있는 Pod
- ① Analog Clock(Default)
- ② Object Container(DefaultDock48)
- ③ Windows Media Player Remote(MetaBlue)
- ④ Calendar(Defavmult)
- ⑤ RSS Reader(Default)
- ⑥ Weather
- ⑦ Hide TaskBar(Default)
- ⑧ Mail Checker(Default)
- ⑨ Slide Show(DefaultMini)
- ⑩ System Meter(Default)
- ⑪ Simple Note(BlueGreen)
- ⑫ Desktop Icon
- ⑬ Start Menu(DefaulDock32)
- ⑭ TaskBar(DefaulDock32)
- ⑮ Systray Info
- Winamp Player Remote
- 맺음말
- 연결 고리
[다음 페이지]
저작권
이 글은 QAOS.com에 2006년 9월 30일에 올린 이것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podXP를 일부 블로그에 올리는 것이다. QAOS.com에서 가져온 모든 글은 QAOS.com의 저작권(불펌 금지, 링크 허용)을 따른다.
- 원어데이 지름사신기 플러그인 과거 원어데이는 잘알려지지 않은 싸고 좋은 제품을 판매하는 사이... 새창
- GreatNews를 이용한 RSS의 활용 컴퓨터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 중에는 RSS(Really Simple Sy... 새창
- 가벼운 셀 프로그램, GeoShell "쉘 대치/XP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쉘"에서 알 수 있듯이 XP에... 새창
- 사진으로 대형 포스터 만들기 우영이 담임 선생님은 조금 심하다 싶을 정도로 엄격하다. 따라서 ... 새창
- VirtualFDD를 이용한 BIOS 업데이트 모 PC 잡지에 기고할 때 일이다. 하드 디스크의 MBR... 새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