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밖 과수원길 아카시아 꽃이 활짝 폈네
하얀꽃 이~파리 눈송이처럼 나~알리네
학명은 'Robinia pseudoacacia LINNE'이다. 5월 6월경에 백색의 꽃이 피며, 꽃의 향기가 아주 좋은 나무이다. 아카시아가 아니라 정확히는 아까시 나무라고 해야 옳은 표현이 된다.
자연은 자신이 소화할 수 있는 것만 생산한다. 그래서 인지 이 땅에서 나는 나무 하나 풀 한포기 마다 그 쓰임새가 있다. 그러나 이 나라에서 나는 것중 유일하게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이 있다. 바로 아까시 나무이다. 번식력은 아주 강해 어떠한 땅에서든 잘 자라고, 일단 씨가 퍼지기 시작하면 주변의 나무를 모조리 고사시켜 버린다.
그러나 이렇게 생명력은 강한 아까시 나무이지만 기둥에 쓸만큼 크고 단단하지도 않고 가구와 같은 목공예에 쓸 수 있을 만큼 무늬가 화려하지도 않다. 그렇다고 해서 나무 향이 좋은 것도 아니다. 오히려 아까시 나무 향은 역겨운 편이다. 굳이 그 쓰임새를 찾자면 잘 썪지 않으므로 아무데나 두었다가 불을 지필 때 잠시 잠깐 쓸 수 있는 장작 정도라고나 할까.
이 아까시 나무는 과거 일제 강점기 때 일제가 우리나라 참나무, 소나무를 베어 가면서 심기 시작한 수종이다. 우리나라에서 큰 인물이 나지 못하도록 백두대간 곳곳에 긴 쇠말뚝을 박은 것과 마찬가지로 강인하면 향이 그윽한 참나무나 소나무 대신 전혀 쓸모가 없는 나무를 민족정기를 말살할 목적으로 심기 시작한 것이고 한다.
민족정기와 우리문화에 관심이 없기는 이 땅에 세원진 정권도 마찬가지여서 해방된지 50여년이 지난 지금은 이 아까시 나무가 서울에서 자생하는 수종의 30%를 차지한다고 한다. 우리의 고유 수종인 참나무, 소나무 대신 이제는 아까시 나무가 가장 흔한 수종이 된셈이다.
해방이되고 정권이 몇번 바꼈지만, 또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것을 주장하며 찾고자 하지만 우리의 강산이 외국의 그것을 닮아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같다.
한 나라의 문화는 그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의 표현이며, 그 나라의 토양을 그 뿌리로 하고 자란다. 진정 우리문화, 우리의 삶을 찾고 싶다면 우리 산하에서 나는 나무 한그루, 풀 한포기부터 먼저 찾아 가꿔야 하지 않을까?
오류 정정
몇가지 잘못된 정보를 수정한다. 일단 번식력이 좋아 어느 땅이든 잘 자라고 잘 퍼지는 것은 사실이다. 햇볕이 많고 척박한 토양에서 잘 자라지만 아까시 나무 덕에 토양이 좋아지고 주변 수목에 의해 햇볕이 차단되면 사라진다고 한다. 또 자연적인 수명도 나무치고는 짧다고 한다. 또 민족정기를 말살할 목적으로 심은 수종이 아니라 이미 황폐해진 우리나라 국토를 빠르게 복구할 수 있는 수종이라 심기 시작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