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젓가락 삼국지

2007/10/23 06:47

한중일, 젓가락이 서로 다른 이유

한국과 중국, 일본 모두 '젓가락'을 사용한다. 보통 동양 사람들이 서양 사람들에 비해 손재주가 좋다. 또 손재주가 좋은 이유를 젓가락으로 보는 사람도많다. 그런데 똑 같아 보이는 한중일의 젓가락이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다. 또 사용하는 용도도 약간씩 다르다. 길기는 중국이 가장 길고 일본이 가장 짧다. 그런나 젓가락질의 난이도는 쇠젓가락을 사용하는 우리나라가 가장 높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삼국의 젓가락이 서로 다른 이유와 젓가락에 얽힌 내 사연을 소개한다.

한중일 젓가락 간단 비교

우리나라 사람들이 머리가 좋고 섬세한 작업을 잘 하는 이유는 바로 젓가락질 때문이라고 한다. 아시아의 15억 인구가 바로 이 젓가락을 사용하지만 각각의 사용처와 기교는 서로 다르다. 젓가락의 종주국을 대표하는 한국, 중국, 일본의 젓가락질을 간단히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항목 중국 한국 일본 설명
길이 중국, 일본 영화나 드라마를 본 사람은 알겠지만 길이는 중국이 가장 길다.
기교 길이가 길 수록 난이도가 올라간다. 그런데 한국의 기교를 더 높이 본 이유는 두 가지다. 먼저 재질이 쇠다. 나무에 비해 쇠젓가락이 다루기 훨씬 힘들다. 두번째는 젓가락의 사용방법이다. 우리나라는 젓가락으로 콩자반처럼 작은 알갱이를 줍기까지 하지만 일본과 중국은 수저 대용으로 사용한다.
재질 나무 나무 중국과 일본 모두 나무고 우리만 쇠다. 이유는 본문을 참조하기 바란다.

한국과 일본의 젓가락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금속이다. 은수저처럼 귀금속을 사용할 때도 있고 놋쇠를 이용해서 만든 방짜도 있다. 반면에 중국, 일본은 나무 젓가락을 사용한다.

서로 다른 젓가락, 그 이유는?

한중일 모두 젓가락을 사용한다. 그러나 젓가락의 길이를 보면 중국의 젓가락이 가장 길다. 우리나라가 중간 정도이며, 일본이 가장 짧다. 중국의 젓가락이 가장 긴 이유는 중국의 음식 문화에 있다. 중국음식 문화는 기름에 튀긴 것이 많은데 일단 음식을 기름에 튀기고 튀긴 음식을 먹기에는 짧은 젓가락 보다는 긴 젓가락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 젓가락의 재질은 튀김에 사용하다 보니 나무 재질이 많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도 튀김용 젓가락은 나무 재질의 긴 젓가락을 주로 사용한다.

일본은 우리와 비슷한 밥상 문화가 발달한 국가이지만 해양 국가로 생선류를 자주 먹으며, 밥을 들고 먹는 특성때문에 젓가락의 길이는 우리 보다 짧다. 또 밥을 들고 떠먹는 습성 때문에 우리와는 달리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젓가락만 사용하는 문화로 정착되었다. 일본이 생선을 주로 먹은 것은 명치 유신 때부터라고 한다. 일본인을 왜라고 부른 이유는 덩치가 작기 때문인데 이런 신체적인 약점을 극복하기위해 육류를 먹어야 했지만 섬 국가라 육류 보다는 생선류가 많기 때문에 생선을 많이 먹게됐다고 한다.

두번째로 기교를 보면 당연한 얘기지만 젓가락의 길이가 짧을 수록 사용하기 쉽다. 따라서 길이만 보면 중국이 난이도가 가장 높고, 우리나라가 두번째, 일본의 기교가 가장 낮아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교를 가장 높이치는 것은 중국은 긴 젓가락을 젓가락으로 사용한다기 보다는 숟가락처럼 떠먹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며, 재질이 나무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젓가락은 대부분 쇠로 만든다. 나무 젓가락의 명칭이 와리바시라는 일본 말로 불린 것을 보면 우리문화에는 아예 나무 젓가락이 없는 듯하다. 쇠로 만든 젓가락과 나무 젓가락의 가장 큰 차이는 쇠로 만든 젓가락이 나무 젓가락에 비해 사용하기 더 어렵다는 점이다. 쇠로 만든 젓가락은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젓가락으로 다른 것을 집으려고 하면 잘 집어지지 않는다. 상당수는 금방 미끄러진다. 반면에 나무 젓가락은 쇠 젓가락에 비해 덜 미끄러진다. 밥풀은 아예 나무 젓가락에는 들러 붙는다.

따라서 한국젓가락이 사용하기 가장 힘들다. 젓가락으로 콩 하나 하나를 집어서 먹는 묘기는 다른 어떤 나라 사람들도 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젓가락질을 하는 방법이 따로 있고 아이들에게 밥상 머리에서 가르치는 것이 젓가락질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젓가락질을 잘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 역시 음식 문화에 있다.

우리의 음식을 먹을 때 밥과 국, 반찬을 따로 받아 먹지 않는다. 밥과 국은 따로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찌개와 반찬은 밥상에 놓고 함께 놓고 먹는다. 이때 찌개는 사용하기 쉬운 수저로 먹으면 되지만 반찬의 대부분은 젓가락으로 먹어야 한다. 아니 젓가락이 아니면 먹기 힘든 반찬도 많다. 찌개와 반찬을 공동으로 먹는 이런 음식 문화는 자연스레 반찬을 빨리 먹으려고 하는 경쟁으로 이어지며, 결국 '신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젓가락질로 발전한다.

우리나라는 반찬을 대부분 젓가락으로 먹는다. 매끈 매끈한 콩 자반도 젓가락으로 먹고, 무르디 무른 묵도 젓가락으로 먹는다. 어른들은 싫어하지만 밥도 젓가락으로 먹을 수 있으며 물에 말은 밥도 젓가락으로 먹을 수 있다. 공중에 떠있는 콩 자반을 젓가락으로 매가 참새를 후려치듯 후려쳐서 뺏았가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우리는 젓가락을 이용해서 다른 사람과 오늘도 경쟁하며 음식을 먹는다. 이것이 신의 경지에 이른 젓가락질의 비결이다.

영어 번역

며칠 레퍼러를 확인하다 우연히 발견한 글이다. 글로벌보이스라는 사이트에 내 글의 일부가 번역되어 올라와 있었다. 에디터가 한국계이며 가끔 한국의 뉴스,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발췌 편집해서 올린 기사로 보였다. 영어로 번역된 문장을 보니 조금 신기한 느낌이 들어 블로그에 추가하게 되었다. 참고로 남은 이야기가 재미있었는지 남은 이야기까지 번역되어 있었다. 번역문 중 […]는 중간을 생략한 부분으로 보인다.

[출처: Chopsticks… Rather Complicated]

[…]1.5 billion population uses chopsticks, but the skill and how to use them are different. I am comparing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which ar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s of chopstick countries.

China: The length of them is long and material is wood. Korea: The length of them is medium and material is iron. Japan: The length of them is short and material is wood.

The reason why Chinese chopsticks are the longest is due to the food. Chinese food is usually fried. In order to cook and eat them, long chopsticks are better than short ones and wooden materials are better as well. For reference, chopsticks for fried foods in Korea are also made of wood. Japan has the similar food with Korea, but they are surrounded by ocean and therefore they eat fish. They also raise bowls close to their faces when they eat food and therefore the length of their chopsticks is short. In addition, rather than using spoons, they mostly use chopsticks.

[…] Korean chopsticks are made of iron. The reason why wooden chopsticks are called waribashi (Japanese term) in Korea is because we don’t use wooden chopsticks. The difference between iron and wooden chopsticks is that iron chopsticks are more difficult to use than wooden ones. The surface is slippery and therefore when you try to pick something up it is hard to grab. Most things slip away.

Using Korean chopsticks is not easy. The skill to pick a bean up with the iron chopsticks is not what others can do. Therefore, what we learn at mealtime is how to use chopsticks. The reason why we’re good at it is simple. It is from Korean food.

[…] When we eat small dishes, we usually use chopsticks. Shiny bean food and soft tofu… we all eat with chopsticks. Even though adults don’t recommend it, we eat rice that was soaked with water, using chopsticks too. We snatch a bean in other person’s chopsticks with chopsticks. Using chopsticks, we eat meals competitively with others.

I was really bad at using chopsticks. As a matter of fact, using chopsticks appropriately is not easy. Cooperative work with a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is necessary. The time when I was comfortable with using chopsticks was in my secondary third year. It was from cracking lunch boxes with 7 friends.

Of course, lunch boxes are for lunch time. But we couldn’t wait and usually ate them before the lunch time. But the problem is if we eat early, we get hungry easily before the classes are over. So we have a club to crack a lunch box and seven people participated. Every morning, we had the game of paper, stone, and scissors and a loser’s lunch box would be taken for the seven people before the first class started.

The next loser’s lunch box would be taken for us in the second class. In this way, to the seventh class, we finish all lunch boxes. Of course, having a lunch box with seven people was really competitive. Using chopsticks two times is hard. Snatching others was possible too. Therefore, using chopsticks well or not was connected to filling your stomach.

Even if I was the one who suggested this game, I was at a disadvantage due to my short skill. For several days, my stomach was empty and sometimes I used my hands. But after we made the rule not to use hands, even using hands was difficult. Finally, I had to learn how to use chopsticks well. I jumped in a battle of meals at such a young age in the secondary third year. Since that time, my skill with chopsticks increased fast.

남은 이야기

나는 젓가락질을 아주 못했다. 젓가락질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젓가락질은 엄지, 검지, 중지의 절묘한 상호작용이 있어야 가능하다. 그런데 이런 절묘함은 쉽게 익힐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젓가락질이 좋아진 것은 중학교 3학년 때이다. 당시 내 제안으로 7명이 시작한 도시락 까먹기가 시발이었다.

보통 도시락은 점심시간에 먹는다. 그런데 한참 때라 점심 시간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중간에 까먹는 때도 많았다. 그런데 이렇게 먹으면 학교를 파하기 전에 배가 고프다는 점이 문제였다. 그래서 도시락 까먹기 계를 조직했다. 총 7명이 참여한다. 아침에 오면 누구의 도시락을 먼저 먹을지를 가위, 바위, 보로 정한다. 그리고 수업을 시작히기 전에 꼴지의 도시락을 7명이 동시에 먹는다.

2교시에는 또 다른 녀석의 도시락을 까먹는다. 이런 방법으로 7교시까지 도시락을 까먹는 방법이었다. 당연한 얘기지만 도시락 하나를 7명이 까먹기 때문에 경쟁이 아주 치열했다. 젓가락질을 두번 하기도 힘들며, 채가는 것도 가능하고 흘린 것을 주워먹는 것도 가능했기 때문에 젓가락질을 잘하느냐 못하느냐는 생사와 직결된 문제였다.

직접 제안을 했지만 젓가락질을 잘 하지 못하다 보니 아주 불리했다. 며칠은 쫄쫄 굶고 손으로 떠 먹었다. 그러나 손으로 떠 먹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이 상정된 뒤 손으로 떠 먹는 것도 힘들어 졌다. 결국 다른 녀석에게 젓가락질 하는 방법을 배웠다. 그리고 중학교 3학년이라는 어린 나이에 '밥의 전쟁'에 뛰어 들었다. 이때 이후 젓가락질 솜씨는 아주 늘었다. 역시 무엇이든 경쟁을 해야 는다.

관련 글타래

Tags

China, Chopsticks, Japan, Korea, 비교, 젓가락, 젓가락질, 한중일